[멀어지는 중·일] 코로나19부터 홍콩안전법에 영토분쟁까지 갈등 ↑
2020-07-08 18:26
홍콩 이어 대만까지 확장하는 중국에 대한 경계심 높아져
중국과 일본의 관계가 최근 들어 급격히 식고 있다. 올해 초만해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일을 기점으로 양국 관계가 부쩍 가까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지난 2018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7년만에 방중에서 내걸었던 '새로운 중·일 협력시대'는 최근 들어 부쩍 삐걱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미·중갈등의 심화, 그리고 홍콩안전법 문제 등이 겹치면서 양국 관계의 균열이 커지는 모양새다.
게다가 집권당인 자민당 내부에서는 시 주석의 국빈 방일을 취소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양국 관계가 향후 급격히 경색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새로운 협력시대는 어디로?···홍콩보안법·영토분쟁에 균열
아베 총리는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중국을 찾았다. 두 번의 방중에서 아베 총리가 내세운 것은 일본과 중국 사이의 '새로운 세대'다. 양국은 코로나19 확산 초기만해도 돈독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은 중국인 입국 금지에도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며, 일본 자민당 의원들은 심지어 월급의 일부를 중국에 기부하기도 했다. 이에 3월에는 중국이 일본으로 의료 물자를 지원하기도 했다.
아베 총리가 코로나19의 발원지가 중국이라는 입장을 표했을 때도 중국은 다른 국가를 대할 때랑은 달리 비판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일본의 후지 뉴스는 중국 정부가 공영 미디어에게 과도한 아베 총리 비난을 자제하도록 당부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관영 영자신문인 글로벌타임스는 미·일관계를 고려하면 아베 총리의 발언은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미국은 물론 호주 같은 다른 서구 국가들에게 날을 세우는 것과는 확실히 비교되는 것이다.
지난 3일 일본 집권당인 자민당 내 외교 소위가 홍콩국가안전법 시행을 이유로 시 주석의 일본 국빈 방문 반대를 결의했다. 그러나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일본 일부의 반중 표현을 상대할 시간도 흥미도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거친 표현은 피한 것이다.
◆일본 내 커지는 반중 흐름···일본의 균형외교 계속 될까?
이전보다 조심하고는 있지만, 양국의 균열은 피하기 힘들어보인다. 일본은 신 일중관계 선언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을 자극하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10일 아베 총리는 "일본은 홍콩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G7 내에서 이 이슈를 이끌어 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우리는 이미 일본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면서 "관련 국가(일본을 지칭)는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준칙을 지켜야한다"고 맞섰다.
영토와 관련된 양국의 긴장은 고조되고 있다. 지난 6월 22일 오키나와 이시가키(石垣) 시의회가 센카쿠 열도의 도노시로(登野城)를 지명 혼동 방지를 이유로 도노시로 센카쿠(登野城尖閣)로 변경하는 의안을 통과시켰으며, 이는 오는 10월 1일 발효된다.
중국 관영매체는 관련 소식을 보도하지 았다. 그러나 중국 해경 순시함 2척이 지난 4일 새벽 센카쿠 인근 일본 영해에 진입했다고 일본 NHK 등 현지 언론은 전했다. 순시함은 무려 37시간 동안 머물렀다. 이는 지난 2012년 센카쿠 국유화 이래 가장 오랜 기간 머문 것이다.
일본 집권 자민당이 시 주석의 국빈 방일 취소 결의안을 놓고 분쟁을 겪고 있는 것도 양국 관계에는 악재다.
자민당 외교부회는 홍콩국가안전유지법(홍콩 보안법)이 통과되자 지난 3일 시 주석 방일 취소를 정부에 요청하는 내용의 비난 결의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정작 당내 반발에 부딪혀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에게 제출하지 못했다고 현지 언론은 7일 전했다.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이 막아섰기 때문이다.
반면 보수파 의원들은 홍콩 사태와 더불어 최근 늘어난 중국의 군사 위협 등을 이유로 들면서 시 주석 방일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