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재 칼럼-하이브리드角] 코로나19 세상 길…희망의 역설

2020-06-26 14:32
코로나19의 길…읽고 듣고 걷기(feat. 스톡데일)



▶지구적 재앙, 코로나19 세상과 시대, 공동번역 성서(bible.cbck.or.kr/Ncb) <요한의 묵시록>을 펼쳐본다. 이 묵시록은 성경의 가장 마지막 편이다. 세상 마지막과 예수의 재림을 예언하는 강렬한 환영(幻影)의 문장이 가득하다. 종말과 심판의 공포와 새 세상의 환희가 교차한다. 죽음과 종말은 기독교뿐 아니라 대부분 종교의 기원·계시와 구원, 내세의 모태(母胎)다.

그런데 사이비 종말론 교주들은 묵시록 구절을 제멋대로 가져다 마음 약한 이들을 현혹한다. 끝 부분에 “이 책에 기록된 예언의 말씀에 덧붙이거나 떼어버리지 말라”고 엄히 못 박았는데도 말이다.

성서학자인 허규 신부는 <요한 묵시록 바르게 읽기>를 통해 요한 묵시록이 위로와 격려와 희망을 전하고 있다고 말한다. 미래 언제 종말이 오고 누가 심판을 받는지를 말하는 게 아니라, 어떤 상황에 처해도 희망을 잃지 말고 신앙을 지켜 가라는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엘 그레코 1614년작 '묵시록 다섯번째 봉인 해제'. [뉴욕메트로폴리탄미술관 제공]
 

피터 브뢰겔 1525년 작 '반란 천사의 추락'. [벨기에왕립미술관 제공]


▶묵시록은 소설 <로드>(THE ROAD·코맥 매카시) 때문에 다시 봤다. <로드>는 왜, 언제 일어났는지 알 수 없는 대재앙 이후 종말 상황의 지구가 배경이다. 태양 빛은 힘을 잃고 달은 더 어두워졌다. 강물은 시커멓고 허공에는 재만 날린다. 인간 사냥, 식인(食人)의 시대다. 남자는 위험을 피해 어린 아들과 남쪽으로 길을 걷고 또 걷는다. 그는 길 위에서 신(神)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묻는다.

열렬하게 신을 말하던 사람들이 이 길에는 이제 없다. 그들은 사라졌고 나는 남았다. 그들은 사라지면서 세계도 가져갔다. 질문: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던 일이라고 해서 앞으로도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코로나19가 가져온 지금의 세계는 이 질문에 답한다.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던 일이 앞으로 절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장담할 수 없다”고.
 


<로드>에서 남자는 아들에게 ‘희망’을 고문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살아있다는 게 중요하다고 담담히 말한다.

우리가 사는 게 안 좋니?
아빠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글쎄, 나는 그래도 우리가 아직 여기 있다는 게 중요한 것 같아. 안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났지만 우린 아직 여기 있잖아.


눈을 뜰 때마다 부자(父子)는 살아 있는 걸 확인한다.

코로나19 재앙의 세상을 헤쳐 나가는 이 길을 걷는 우리 역시 살아있다. 아직 여기 있다.

▶투쟁, 분투의 소설가 매카시가 쓴 ‘길’은 해방, 혁명을 노래한 시인 김남주와 요절한 천재 음악인 유재하로 이어졌다. 우리가 걷고 있는, 얼마나 더 걸어야 할지 모르는 코로나19 세상의 길.

유재하의 ‘가리워진 길’을 읊조린다.

보일듯 말듯 가물거리는 안개 속에 싸인 길
잡힐 듯 말 듯 멀어져 가는 무지개와 같은 길


김남주의 시에 곡을 붙인 ‘길’은 투쟁적인 민중가요지만 돈돈히 부르면 이런 발라드곡도 없다.

길은 내 앞에 놓여있다 나는 안다 이 길의 역사를
길은 내 앞에 놓여있다 여기서 내 할일을 하라


시인은 이 길을 함께 가자고 한다.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셋이라면 더욱 좋고 둘이라도 함께 가자
앞서가며 나중에 오란 말일랑 하지 말자
뒤에 남아 먼저 가란 말일랑 하지 말자
둘이면 둘 셋이면 셋 어깨동무하고 가자


▶세상 종말의 길에 빠져 있다가 음악과 시로 조금은 힘을 내보니, 베트남 미군 포로수용소 이야기가 떠올랐다. 희망의 동아줄만 잡고 있었던 사람들과, 그저 현실을 버텨 살아낸 이들의 생사가 엇갈린 얘기.

‘이제 곧 나갈 거야’라는 희망을 갖고 고향으로 돌아갈 날을 기대하던 포로들은 몇 차례 계속 절망을 거듭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병약해 숨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어느 포로는 고향에 자주 가던 동네 골프장을-나무 한 그루와 풀 한 포기까지-떠올리며 매일 매일 가족·친구들과 함께 상상 골프를 즐겼다. 막연한 희망을 가졌던 포로들에 비해 그저 하루 하루 상상 골프를 쳤던 이 포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고향에 돌아갔다고 한다.

이런 비슷한 스토리를 검색해보니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라는 용어를 배우게 됐다. 베트남전쟁 때인 1965년부터 1973년까지 포로생활을 했던 미 해군장교 제임스 본드 스톡데일의 이름에서 유래된 단어다.
 

제임스 본드 스톡데일(1923~2005) 미 해군 중장. [사진=미해군 홈페이지]


당시 대부분의 동료들이 수용소에서 사망했지만 끝까지 살아남은 스톡데일은 포로들의 근거 없는 낙관주의를 경계했다. 수용소에서 가장 일찍 죽은 사람은 비관론자가 아니라 근거 없는 낙관주의자였다고 한다. 이들은 크리스마스에는 석방되리라 믿고 희망에 차 있다가 이 희망이 좌절되면 실망하고, 다음에는 추수감사절의 석방을 기대했다. 또 좌절, 실망. 그렇게 막연한 희망을 품고 기다리다 끝내 석방되지 않자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는 것이다. 스톡데일 패러독스는 '희망의 역설'로 번역된다.

비슷한 희망의 역설은 등산에도 있다. 등산 고수들이 절대 안 하는 말이 있다. “다 와 가, 조금만 더 가면 돼.”, “이제 다 왔어, 금방 정상이야.” 초행길 동반자, 등산 초보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이 말이 결국 탈진, 부상 등 사고로 이어질 때가 적잖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치료제가 연내에 개발될 거란 기대, 조만간 백신이 나올 거라는 예상 등 머지않아 코로나19가 끝날 거란 희망에 너무 집착하지 말자. 그저 한 발 한 발 묵묵히 코로나19 세상의 길을 걷자. 보일듯 말듯 가물거리는 길이지만 내 할 일을 하며 함께 가면 된다. 여기 살아 있다는 걸 서로 함께 확인하면서. <로드>의 아버지는 끝내 멈췄지만, 아들은 지금도 남쪽으로 향하는 길을 걷고 있으리라. 가슴에 불을 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