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QR코드로 코로나19 위험시설 체크인한다”... 정부 방역관리 동참

2020-06-10 09:34

네이버는 정부가 제공하는 QR코드 기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에 참여, 국가 차원의 방역 관리에 협력한다고 10일 밝혔다.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가운데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범국가적 노력에 협력하는 것은 네이버가 처음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5월 24일 코로나19 역학조사 등을 위해 IT기술을 활용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7일까지 서울, 인천, 대전의 16개 시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바 있다. 네이버 역시 해당 기간 동안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서비스 안정성과 보안 등을 점검했다.

미리 로그인한 네이버 앱 또는 웹 우측 상단의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내 서랍’ 기능에서 제공되는 ‘QR 체크인’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최초 이용하는 경우와 월 1회 휴대전화번호 인증만 하면 된다.

또는 네이버 첫화면 검색창 하단에 위치한 배너나 ‘QR코드 전자명부',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전자출입명부', 'QR코드 출입', ‘QR KI Pass’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해도 사용 가능하다. 이처럼 네이버 앱·웹에서 QR코드 기능을 실행한 뒤, 시설 관리자에게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네이버와 정부는 해당 시스템 도입을 통해 방역조치가 더 정확하고 신속해지는 한편, 사용자 편의성 역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 앱 전자출입명부 QR코드는 암호화한 뒤 사회보장정보원과 분산해 저장되며, 역학조사가 필요할 때만 방역당국이 두 정보를 합쳐 이용자를 식별하게 된다. 또, 4주 후 자동 폐기되는 만큼 수기명부보다 안전할 것이라고 정부와 네이버는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정부가 제공하는 QR코드 기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에 참여, 국가 차원의 방역 관리에 협력한다고 10일 밝혔다. [사진=네이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