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정 폐쇄'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시스템 업그레이드…"보안성 강화 목적"

2020-06-03 11:27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1월부터 5개월째 잠정 운영 중단
"업그레이드 추진, 보안성 강화 목적…운영 재개시기는 미정"

통일부가 보안성 강화를 위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시스템 업그레이드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3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시스템 업그레이드는 남북 연락사무소와 기존 통일부와의 호환성 그리고 보완성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 업그레이드 차원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시스템은 연락사무소하고, 통일부하고 기존 시스템과 또 개선해갔을 때 운용상의 문제점들이 일부 있어서 호환성을 높이고 또 보완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2018년 9월에 개소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 1월 30일부터 운영이 잠정 중단된 상태다.

당시 북한의 요청으로 연락사무소를 잠정 폐쇄하면서 사무소 상주인원 58명은 정부서울청사의 서울사무소로 철수했다. 현재는 남북은 오전, 오후 하루에 두 차례 전화와 팩스선을 이용한 정례 연락만 취하고 있다.

여 대변인은 사무소 인력의 개성 복귀 시점에 대해선 “북한과 논의하고 있지는 않다”며 “논의 시점은 코로나19 상황이 해소가 됐다고 객관적으로 아니면 상식적으로 해소가 됐다고 보여지는 시점에 논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연락사무소 운영 재개 시점도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나서는 것이다.
 

지난1월 30일 오후 경기도 파주 통일대교를 나서고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철수인원 탑승 차량들.[사진=통일부 제공]


여 대변인은 한국의 경찰청격인 북한 인민보안성이 ‘사회안전성’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언급했다.

전날 조선중앙방송은 평양종합병원 건설장 지원 소식을 전하며 “사회안전성에서 지원사업을 통이 크게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북한 매체는 지난달 24일까지만 해도 ‘인민보안성’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해당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 대변인은 “사회안전성으로 복귀된 것은 (북한) 매체를 통해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사회안전성 명칭 변경의 배경과 기존 김정호 인민보안상의 위치 변동 등에 대해선 “수장이 누구인지 또 기능과 역할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북한은 지난 2월 인민보안상을 최부일에서 김정호로 교체했다.

인민보안성 명칭 변경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주재로 지난달에 개최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 결과에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 매체는 당시 확대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안전기관의 사명과 임무에 맞게 군사지휘체계를 개편할 데 대한 명령서를 비롯한 7건의 명령서들에 서명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인민보안성은 1951년 내무성에서 분리돼 사회안전성이라는 정부 기관으로 출범했었다. 그러다 이듬해에 다시 내무성에 흡수됐고, 1962년 독자기관으로 분리됐다.

1972년엔 사회안전부로 명칭을 바꿨다가 1998년에 다시 사회안전성으로, 2000년부터는 인민보안성으로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