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베일 벗는 그린 뉴딜...신재생에너지업계 ‘기대반 우려반’

2020-05-26 18:26
태양광 사업, 기초 소재 '폴리실리콘' 중국 저가 공세에 설 자리 잃어
두산중공업, 수력발전 미지수...효성, '울산 액화수소공장 신설'로 수소경제 기대↑

문재인 정부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경기부양을 위해 제시한 한국판 뉴딜의 한축인 ‘그린 뉴딜’의 밑그림이 내달 공개된다. 새로운 경기부양책이란 기대감이 크지만, 그린 뉴딜의 수혜주로 지목하는 신재생에너지 업계는 되레 우려 섞인 목소를 내놓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6월 초 그린 뉴딜의 실질적인 정책 방향의 윤곽이 뚜렷해질 전망이다. 그간 당·정·청이 밝혀온 구상으로 추정해볼 때 그린 뉴딜의 방향성과 가장 부합하는 사업은 단연 신재생에너지다. 태양광을 비롯해 풍력, 수력, 수소 등이 대표적이다. 앞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그린 뉴딜을 통해 기후 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태양광과 풍력 설비 확대를 제시했다.

 

태양광 패널 대단지 [아주경제 DB]


하지만 이들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실익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산업의 경우, 내수 비중은 15%에 불과한 상황이다. 그나마 이마저도 중국 업체의 저가 원재료 공세로 인해 기초 소재 생산업체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실제로 태양광 패널의 기초 소재인 폴리실리콘의 국제 가격 급락으로 인해, 이를 생산해온 OCI와 한화솔루션은 국내 공장 생산을 중단하는 등 사업 철수 수순을 밟고 있다.

이보다 앞서 폴리실리콘 제조업체였던 넥솔론과 SMP는 2017년 파산했고, 한국폴리실리콘은 2018년부터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잉곳과 웨이퍼를 제조하던 웅진에너지도 지난해 5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 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부품 공급망이 사실상 붕괴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때 국내 최대 규모의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OCI가 올초 군산공장의 폴리실리콘 생산라인 철수를 결정했고, 그나마 하나 남은 설비는 반도체용으로 전환하고 있다”면서 “태양광사업의 소재 확보를 위해 정부가 선투자를 하지 않으면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그린 뉴딜의 성과를 내기는 힘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현재로선 수력, 풍력, 수소 등도 사업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정부의 ‘탈원전’ 방침으로 직격탄을 맞은 두산중공업의 경우, 수력발전 및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사업에 뛰어들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 올해 안에 3조원의 자구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부 인력감축과 투자금 실탄이 부족해 설비 확대가 쉽지 않은 상황.

그나마 풍력 사업의 경우, 두산중공업은 자체개발한 기술을 통해 국내 환경에 최적화 된 제품(3MW급 육·해상 겸용 제품 WinDS3300/134)으로 실적을 쌓고 있다.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왼쪽)과 성백석 린데코리아 회장이 지난달 28일 액화수소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사진=효성그룹 제공]



수소 사업의 경우, 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수소차 생산 계획과 정부 차원의 '수소경제' 활성화 방침은 긍정적인 반응이다.

특히 효성그룹은 수소연료 기지 구축에 적극적이다. 최근 글로벌 화학 기업 린데그룹과 제휴, 오는 2022년까지 총 3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 및 운송, 충전시설 설치·운영 등을 총망라한 밸류체인을 구축하기로 했다.

효성그룹은 이에 따라 울산 용연공장 내 용지 3만여㎡(약 1만평)에 연산 1만3000t 규모 액화수소 공장을 신설한다. 하루 생산량은 35t으로 단일 설비로는 세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효성그룹 관계자는 "공장이 지어지고 액화수소 생산이 본격화되면 도심에 수소충전소 설치가 용이해져 수소차 이용자들 접근도도 높아질 것"이라며 "경제성과 안전성이 확보되는 만큼 수소경제 시대가 보다 빨리 도래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