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계 하이패스 '코레일 스피드 게이트' 도입 좌절…"또 다른 혁신 도전 중"
2020-03-17 14:24
2년여 전 개발한 후 실증했지만 '실효성 부족' 결론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2년여 전 개발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실증한 결과, 확대 도입하지 않기로 한 사실이 밝혀졌다. 고속도로 하이패스처럼 교통카드를 개찰구에 접촉하지 않고 이용자가 지나갈 때 자동으로 결제토록 해봤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다.
17일 본지 취재 결과, 코레일이 '스피드 게이트 시범역사'로 지정할 예정이었던 구로역에 관련 시스템을 설치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코레일은 출퇴근 이용객이 많은 지하철 1호선 구로역에 2018년 11월부터 새 기술을 적용해 이동 편의성 증대 효과를 실험하겠다고 보도자료를 냈었다.
코레일 관계자는 "모든 사람이 새로운 앱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스피드 게이트 이용자와 비이용자가 섞여 오히려 이동시간이 더 길어지는 부작용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지하철 특성상 고속도로처럼 차선을 구분해서 하이패스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동선을 나누기 어렵다는 점을 간과한 결과다.
향후 공개할 예정인 기술로는 전차선로 고장 및 열차 지연의 원인이 되는 '까치집 검출 고도화 기술'과 '철도 내비게이션 시스템 기반 열차 접근 경고 앱' 등이다.
우선 매년 평균 7073개(2015~2018년)에 달하는 까치집을 맨눈으로 확인하고 제거 중인 코레일은 검출 시스템을 자동화할 계획이다. 조류로 인한 열차 장애가 매년 2~3건씩 이어진 데 따른 조치다.
연구목표는 영업용 전동차량에 검출률 95% 이상의 인공지능 시스템을 탑재하고, 운행 중 포착한 사진을 담당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지난해 9월경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 같은 해 말 호남선(익산~나주)에서 실증한 결과 검출률이 96.2%로 집계돼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또 선로 위 작업자가 열차가 접근할 때 휴대전화로 경고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든다. 이달부터 시범사업을 진행한 후 올해 말 보급할 예정이다.
이 경고 앱은 2018년경 구축한 실시간 열차운행 모니터링 내비게이션을 기반으로 한다. 이 시스템 덕분에 지하에 있는 열차의 위치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코레일 관계자는 "신기술 특성상 본래 일정대로 사업계획이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이 외에도 열차 유리창에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를 띄우는 등 다양한 기술적 시도를 진행하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