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이상과 현실]① “농업 비전 보고 왔는데”...소득 줄어 다시 ‘투잡’ 신세
2020-03-04 06:45
귀농 인구 48.6%, 소득 부족으로 농업 외 경제활동
5년차 귀농 가구 소득 3895만원, 귀농 전(4400만원)보다 적어
5년차 귀농 가구 소득 3895만원, 귀농 전(4400만원)보다 적어
“스마트팜처럼 농업도 디지털화 되고, 저 같은 젊은 또래도 직업 삼아 많이들 내려간다고 해서 귀농을 결심했는데, 막상 부딪혀 보니 현실은 다르더라고요. 어쩔 수 없이 저녁 후에는 시내로 나가서 대리운전하며 투잡(two job) 뛰고 있어요.”
30대라고 밝힌 정모 씨는 대학 졸업 후 3년 간 취업 준비를 하다 여의치 않아 귀농을 선택했다고 했다. 올해로 귀농한지 5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형편이 나아지는 기미를 보이지 않아 그는 작년부터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정 씨처럼 국내 귀농 인구 절반 가까이는 벌어들이는 소득이 부족해 농업외 다른 경제활동을 병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5년 사이 귀농·귀촌을 한 4167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한 결과 귀농 1년 차 가구 소득은 2828만원으로 집계됐다.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인 4400만원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5년 차에 접어들면서 소득이 3895만원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여전히 귀농 전 수입(4400만)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귀촌한 가구는 1년 차 소득이 3279만원에서 5년 차에 4200만원으로 올라 귀촌 전 평균 소득(4058만원)을 회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비 내역을 보면 귀농 가구는 식비가 38.6%로 가장 많이 지출했다. 이어 주거·광열·수도·전기(20.3%), 교통·통신비(13.7%), 교육비(10.9%), 건강·의료소비(9.8%), 문화·여가생활비(4.5%) 등의 순이었다.
식비를 제외하고 주거·광열·수도·전기 등은 농사 짓는 과정에서 들어가는 고정비용이란 점에서 귀농 가구의 부담이 컸다. 교통·통신비도 농산물 유통, 판매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이란 점에서 소득을 낮추는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귀농 가구의 절반에 가까운 48.6%가 소득 부족 등을 이유로 농업 이외의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가구의 농업 외 경제활동은 직장 취업(24.6%)이 가장 많았다. 다시 취업해 농업을 부업 삼는 인구가 늘고 있는 셈이다.
이어 농산물·가공식품 직접 판매(23.8%), 임시직(21.9%), 자영업(17.9%), 비농업부문 일용직(12.7%), 농업 임금노동(10.0%) 등이 뒤따랐다.
그럼에도 조사 결과 ‘귀농을 한 이유’로 30대(46.3%), 40대(39.0%) 등 젊은 층에서 ‘농촌의 비전 및 발전 가능성을 보고’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 인구 중 40대 이하 젊은 층은 농촌의 발전 가능성을 주로 보고 귀농에 나서지만 소득 감소로 지원을 요청하는 사례가 많다"며 "귀농 자금을 받더라도 체험, 판매업 사업자 등록을 하도록 하는 등 귀농인들의 소득 강화를 위한 보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