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기업도 속수무책]“근본적 문제, 기업살리기 나서야”
2020-02-17 08:12
[사진=연합뉴스]
“이전부터 미흡했던 ‘기업살리기’를 덮어 두고, 전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기업이 어려워졌다고 말하면 안 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코로나19 관련 단기 지원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기업살리기 대책이 동시에 나와야 한다고 조언한다.
홍기용 인천대 교수는 “중요한 건 우리나라 기업 전반에 성장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라며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한 이후)회복될 때 기업들이 경쟁력 있게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는지를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는 ‘기업살리기’ 대책의 핵심은 규제개혁이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새로운 산업을 구축하고, 이제까지 없던 것을 찾아내 창의적인 분야에 뛰어드는 선봉장은 중소기업”이라며 “규제로 신산업이 막히면 제일 손해보는 건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는 “코로나19 사태는 단기적으로 경제에 충격이 올 수 있어서 정부가 관련 대책을 내놓는 건 당연하다”며 “그러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 경제 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생각했으면 좋겠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심리적으로 너무 위축돼 왔다”고 말했다.
이 이사는 “일자리는 결국 경제 허리 부분에서 생기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지원을 집중하고, (공공분야보다)기업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기업들의 숨통을 트이게 해 줘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