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에 신종 코로나에 금값 '날개'..."올해 2000달러 돌파" 전망도

2020-01-28 11:32
우한폐렴 공포에 투자자들 안전자산 금으로 도피
글로벌 저금리 장기화 추세에 금 투자 매력 높아져
"올해 두 자릿수 상승 전망...2000달러 돌파도 가능"

최근 금값이 파죽지세로 오르면서 27일(현지시간) 온스당 1600달러 고지에 성큼 다가섰다. 세계적인 저금리 환경 속에 몸값이 높아진 데다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 공포가 퍼지면서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매력이 돋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선 올해 금값이 2000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7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금은 전일 대비 온스당 0.4%(5.50달러) 오른 1580.25달러를 기록했다. 2013년 4월 이후 6년 8개월여 만에 최고치다. 28일 아시아 시장에서도 금값은 상승 동력을 이어가고 있다.

 

금값 5년 추이 [사진=인베스팅닷컴]


금값은 지난 1년새 20% 넘게 뛰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여전히 금값 낙관론이 꼬리를 물고 있다. 금값이 온스당 2000달러를 돌파해 신고점을 찍을 날이 머지 않았다고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

블랜차드앤컴퍼니의 데이비드 빔 회장이 대표적이다. CNN비즈니스에 따르면 그는 "올해에도 금값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일 것이다. 온스당 2000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할 수도 있다. 꼭 올해가 아니더라도 머지 않은 날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상승 여력이 30% 이상 남은 것으로 본 셈이다. 금값이 사상 최고치로 올랐던 건 유럽 부채 위기가 정점이던 2011년이다. 당시 금값은 190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최근 금값이 고공행진 하는 건 중국 우한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른바 우한 폐렴의 확산 공포가 시장을 집어삼키면서다. 중국에서 사망자가 100명을 넘은 데다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세계 곳곳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27일 미국 뉴욕증시 간판 S&P500지수가 1.58% 급락한 배경이다.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증시와 달리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시장의 공포가 높아지면 가격이 오르는 경향을 보인다. CNN비즈니스가 집계하는 공포·탐욕(Fear·Greed)지수는 시장의 탐욕이 한주만에 공포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0(극단적 공포)과 100(극단적 탐욕) 사이에서 움직이는 이 지수는 한주 전 89에서 27일에는 47까지 곤두박질쳤다.

빔 회장은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변수들이 많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중국의 경기둔화가 전 세계에 파장을 던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새해 벽두부터 시장의 공포를 자극했던 중동 정세의 불안감도 완전히 가시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금값을 밀어올리는 요소가 최근 시장의 공포뿐은 아니다. 장기간 지속되는 저금리도 금값을 지지한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미국 증시 3대지수가 일제히 20~30% 오르는 랠리를 펼친 가운데 금값이 동반 상승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금은 이자나 배당이 없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투자 매력이 높아진다. 지난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급격한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보험성 금리인하를 세 차례 단행했으며, 당분간 금리동결을 선언하면서 금리 정상화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해 9월 통화부양을 확대했고 일본은행(BOJ)은 사정이 악화하면 주저없이 추가 완화에 나설 뜻을 강조하고 있다.

주식 투자에 대한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금값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다. 글로벌인베스터스의 랄프 알디스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세계적인 통화완화 추세에도 기업 실적이 감소했다는 점을 짚으면서 "증시를 띄운 건 실적이 아니라 유동성이다. 주식 투자자들의 불안도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금값 랠리가 이제 시작인 것 같다면서 "금과 금 관련주에 대한 투자는 자산의 5~10%가 적당하다"고 제안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