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증시 주간전망]미국 FOMC, 무역협상, 경제지표 발표...中증시 행방은?
2019-12-09 00:30
미·중 무역협상 마감시한 초읽기
11월 CPI·PPI 지표로 中 경기진단
11월 CPI·PPI 지표로 中 경기진단
이번 주(9~13일) 중국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전개 움직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등에 주목할 전망이다.
지난주(12월 2~6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한 주를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주간 상승폭 1.39%를 기록하며 마지막 거래일인 6일 2912.01로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도 일주일간 각각 3.09%, 3.72% 상승해 9878.62, 1726.80으로 장을 마쳤다.
이번 주 시장은 △미·중 무역협상 추이 △미국 FOMC 결과 △11월 중국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 발표 등에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중국 증시는 미·중 무역협상 관련 이슈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전망이다. 미국이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오는 15일부터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시장엔 여전히 비관론이 우세하다.
미·중 양국은 1단계 무역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협의를 계속 진행 중이다.
미국은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오는 15일부터 1560억 달러(약 185조5620억원) 규모의 중국 제품에 15%의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이를 일종의 '데드라인'으로 두고 그동안 미·중 간에 논의가 있었고 1단계 무역 협상 타결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미국 의회가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이하 홍콩인권법)' 제정에 이어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인권정책법안(이하 신장위구르 인권법안)을 조만간 통과시킬 것으로 예상돼 미·중 양국이 안보 분야에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 1단계 무역협상은 예정대로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중국이 미국의 홍콩인권법, 위구르인권법에 반발하고 있지만 양국 간에 물밑 접촉이 계속 진행되고 있어 스몰딜(부분 합의)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남아있는 이유에서다.
앞서 지난 6일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추가 관세를 유예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추가 관세 유예 결정은 중국이 미국에 우호적인 제스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15일 이전 1단계 극적 타결이나 관세 부과 유예 후 협상 지속 및 관세 부과 후 협상 지속 등 낙관론이 다시 힘을 받고 있다.
중국의 경제현황을 진단해 볼 수 있는 11월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가 발표된다.
오는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11월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대비 4.2%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달 상승률인 3.8%보다 소폭 웃돈 것으로 2012년 1월 이후 약 7년 만의 월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는 것이다. 중국 당국의 올 한해 물가 상승 억제선인 3%도 돌파하는 것으로, 소비자물가 관리에 경고등이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중국 월간 PPI 상승률이 지난 7월 2년 11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는 것이다.
PPI는 원자재·중간재 가격, 제품 출고가 등이 반영된 지표로 제조업 경기 동향을 나타내는 선행지표 중 하나다. PPI가 하락하면 통상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디플레이션의 전조로 해석된다.
이밖에 시장은 오는 10일부터 11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매우 양호했던 11월 고용을 고려하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하겠다는 연준의 방침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은 작다는 이유에서다.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재확인하게 될 경우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 인민은행의 통화정책 향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오는 14일 2860억 위안어치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만기가 도래한 가운데 인민은행이 MLF 만기를 연장할지, MLF 금리를 동결할지 등이 관심이다. MLF 금리는 중국에서 실질적인 대출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와 연동된다. MLF 금리를 인하하면 은행권 LPR도 낮아져 시중 대출금리를 낮추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둥우증권은 "중국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박이 커진 가운데 중국이 MLF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다.
지난주(12월 2~6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한 주를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주간 상승폭 1.39%를 기록하며 마지막 거래일인 6일 2912.01로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도 일주일간 각각 3.09%, 3.72% 상승해 9878.62, 1726.80으로 장을 마쳤다.
이번 주 시장은 △미·중 무역협상 추이 △미국 FOMC 결과 △11월 중국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 발표 등에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중국 증시는 미·중 무역협상 관련 이슈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전망이다. 미국이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오는 15일부터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시장엔 여전히 비관론이 우세하다.
미·중 양국은 1단계 무역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협의를 계속 진행 중이다.
미국은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오는 15일부터 1560억 달러(약 185조5620억원) 규모의 중국 제품에 15%의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이를 일종의 '데드라인'으로 두고 그동안 미·중 간에 논의가 있었고 1단계 무역 협상 타결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미국 의회가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이하 홍콩인권법)' 제정에 이어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인권정책법안(이하 신장위구르 인권법안)을 조만간 통과시킬 것으로 예상돼 미·중 양국이 안보 분야에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 1단계 무역협상은 예정대로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중국이 미국의 홍콩인권법, 위구르인권법에 반발하고 있지만 양국 간에 물밑 접촉이 계속 진행되고 있어 스몰딜(부분 합의)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남아있는 이유에서다.
앞서 지난 6일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추가 관세를 유예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추가 관세 유예 결정은 중국이 미국에 우호적인 제스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15일 이전 1단계 극적 타결이나 관세 부과 유예 후 협상 지속 및 관세 부과 후 협상 지속 등 낙관론이 다시 힘을 받고 있다.
오는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11월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대비 4.2%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달 상승률인 3.8%보다 소폭 웃돈 것으로 2012년 1월 이후 약 7년 만의 월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는 것이다. 중국 당국의 올 한해 물가 상승 억제선인 3%도 돌파하는 것으로, 소비자물가 관리에 경고등이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중국 월간 PPI 상승률이 지난 7월 2년 11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는 것이다.
PPI는 원자재·중간재 가격, 제품 출고가 등이 반영된 지표로 제조업 경기 동향을 나타내는 선행지표 중 하나다. PPI가 하락하면 통상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디플레이션의 전조로 해석된다.
이밖에 시장은 오는 10일부터 11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매우 양호했던 11월 고용을 고려하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하겠다는 연준의 방침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은 작다는 이유에서다.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재확인하게 될 경우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 인민은행의 통화정책 향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오는 14일 2860억 위안어치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만기가 도래한 가운데 인민은행이 MLF 만기를 연장할지, MLF 금리를 동결할지 등이 관심이다. MLF 금리는 중국에서 실질적인 대출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와 연동된다. MLF 금리를 인하하면 은행권 LPR도 낮아져 시중 대출금리를 낮추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둥우증권은 "중국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박이 커진 가운데 중국이 MLF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