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안화 직거래 활발…자금조달 수단으로는 활용 위축"

2019-11-09 00:05


우리나라의 위안화 무역결제 및 원-위안화 직거래는 활발해진 반면, 자금조달과 예치 수단으로서의 위안화 활용은 크게 위축되는 등 시장별로 차별화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올 상반기 대중(對中) 무역 중 위안화 결제는 68억4000만 달러 규모로 지난해 수준(67억4000만 달러)을 유지했으나, 대중 무역결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에서 역대 최고치인 5.7%로 상승했다.

원-위안화 직거래 일평균 거래량은 지난해 18억2000만 달러에서 올 1~10월 23억20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원-달러 거래량 대비 비율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스프레이드 축소에 따른 거래 비용 절감 △달러-위안화와 연계거래 △정부 지원 등이 거래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위안화 예금은 올 9월말 잔액이 2014년 정점(19억4000만 달러)과 비교해 10%에도 못 미쳤다.

투자자들이 환차손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위안화 보유를 회피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2014년 국내 위안화 예금 급증은 원화의 환전을 통한 환차익 추구 성향이 크게 작용했다.

다만, 한국과 중국의 실물경제 기반이 양호하므로 앞으로 중국 자본시장 개방폭이 커질 경우, 점차 활성화할 것으로 국제금융센터 측은 내다봤다.

단기적으로는 역외 위안화의 중국 환류 및 운용수단이 제한돼 위안화 가치 상승이 대외보유 및 활용 여부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자본시장 개방이 가속화하고, 역외 위안화 유동성 공급이 무역에서 직접투자(ODI) 등으로 다양화해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이 증가할 전망이다.

향후 외국인의 중국 국공채 투자 비중이 10%로 상승할 경우, 전세계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 비중이 7% 정도에 달해 엔화(5%)를 추월할 가능성도 높다. 전세계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 규모는 2017년말 1234억7000만 달러에서 2019년 2분기 2176억4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대중 무역뿐 아니라 FDI 규모도 위안화 활용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 중 최상위 수준으로 위안화 활용 잠재력이 높은 편"이라며 "우리나라의 무역결제가 향후 3~5년내 최대 2배 정도 증가하고 여타부분에서의 활용도 서서히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