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금융전쟁’될까

2019-09-29 16:50
美 재무부, 中 기업 뉴욕증시 상장폐지설 부인했지만 여지 남겨
美 의회에 ‘외국기업 상장폐지’ 관련 법안 2건 발의된 상태

미국 재무부가 미국이 자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의 상장폐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다수 외신의보도를 부인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계획이 없다’라는 발언으로 여지를 남긴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금융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모니카 크롤리 미국 재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중국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는 계획을 현재는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등 다수 외신들이 보도한 뉴욕증시에서의 중국 기업 상장 폐지설과 투자 차단설을 하루 만에 부인한 것이다.

앞서 27일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으로 유입되는 미국의 포트폴리오 투자를 제안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뉴욕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을 폐지하거나 미국 공적 연기금의 중국 투자를 차단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CNBC 방송도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기업들의 대(對) 중국 자본투자를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국의 허술한 규제 감독 리스크로부터 미국 투자자들을 보호하겠다는 명분”이라고 거들었다.

이 같은 소식으로 이날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6% 하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0.53%, 1.13% 하락 마감했다. 특히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와 검색포털 바이두의 주가가 각각 5%, 3.7% 급락했다.

시장의 충격과 커진 논란 등으로 미국 재무부가 급하게 대처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우려가 높다. 일단 크롤리 대변인의 발언에서 여지가 엿보였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크롤리 대변인이 중국 기업의 상장 폐지 계획에 대해서는 부인했지만, 미국 공적 연기금의 투자 차단과 관련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현재는 계획이 없다’라는 발언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라는 해석이다.

게다가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의회에는 이미 외국 기업에 대한 미국 증시 상장폐지 관련 법안 2건이 발의돼 있는 상태다. 미국의 회계 외부감시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인데 이 대상은 중국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지난달 씨티그룹의 세자르 로하스 글로벌 이코노미스트는 ‘가능성이 높은 미국의 극단적인 보복조치’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외국 기업의 상장이 폐지되는 법안이 통과될 경우 200여개 중국 기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본 바 있다.

물론 아직 이 조치가 구체적인 메커니즘이 마련된 것이 아니며, 실제 시행까지는 어려울 것이라는 신중론도 있다. 기업공개(IPO) 자문회사인 이슈어네트워크의 패트릭 헤일리 최고경영자(CEO)는 “상장 폐지를 위해서는 거래소가 합당한 이유를 제시해야 하는데, 이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기업 퇴출이 실제로 이뤄지긴 어렵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이 같은 움직임으로 오는 10월 미·중 무역협상 진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 블룸버그는 “이번 보도는 양국 갈등이 새로운 전선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무역협상은 다음달 10~1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