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금융보복 오해와 진실] ②SBI·산와머니 '철수설'은 보복 아닌 수익성 악화 원인
2019-08-13 00:05
일본계 금융사는 국내에서 영업을 영위하면서 보복성 행동을 취하기 어렵다. 정상적인 영업을 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스스로에게 더 큰 손해가 발생할 수 있어 보복보다는 '제 살 깎기'가 된다. 이외에는 국내 금융사를 매각하고 아예 자본을 빼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도 정당한 가격에 금융사를 매각하는 작업이 필요하기에 보복보다는 '절교'와 가까운 행위다.
현재 국내 금융권에서는 이 같은 '제 살 깎기·절교'와 유사한 방안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것도 저축은행권과 대부업권에서 각각 선두를 달리는 일본계 금융사 SBI저축은행과 산와대부(산와머니)의 일이다.
두 금융사의 매각·철수설은 일본계 금융사로서 국내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번 한일 관계 경색 탓에 두 금융사의 매각·철수 작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융권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은 최근 매각설에 시달리고 있다. 대주주인 일본 SBI그룹이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향후 SBI저축은행을 매각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는 탓이다.
지난 2013년 대주주가 된 SBI그룹은 지금까지 수차례 유상증자를 단행해 총 1조4000억원을 쏟아 붓고 나서야 SBI저축은행을 정상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SBI저축은행은 과거 현대스위스저축은행 시기 쌓였던 결손금(지난해 말 기준 4254억원)이 남은 탓에 대주주에게 배당을 해주지 못하는 상황이다.
거기에 최근 한일 관계가 경색되면서 일본 대주주에 대한 배당이 '국부 유출'이라는 논란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결국 금융권에서는 SBI그룹이 배당을 통해 수익을 얻기가 더 어려워진 탓에 매각을 시도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사진=산와대부 홈페이지 화면 캡쳐]
아울러 이번 한일 관계 경색도 산와대부의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에서 일본 관련 상품·서비스 불매운동이 번지고 있다. 일본계 대부업체로 불매운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산와대부가 신규대출 중단을 더 장기간 유지하기로 결정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무래도 일본계 금융사가 영업하기 좋은 시기가 아니라 국내를 떠나는 것을 검토해볼만하다"며 "하지만 SBI저축은행이나 산와대부의 사례를 볼 때 한일 관계 탓에 떠나야겠다고 마음을 먹더라도 단기간에 떠나가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