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오늘 북한 방문…"후진타오 방북과 유사"

2019-06-20 09:59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 계기 기대
시진핑 '선물 보따리'도 관전 포인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방문한다. 집권 이후 처음이자, 중국 최고지도자로는 14년 만이다. 시 주석이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협상을 촉진시키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만큼, 회담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방북이 과거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때와 흡사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진핑 비핵화 메시지…G20, 한·미 정상회담에 연쇄 파장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 주석의 방북은 국제회의를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 핵 문제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전임자인 후 전 주석의 2005년 방북과 유사하다.

2005년 10월 후 전 주석은 북한의 핵 포기와 개혁개방 촉구를 위해 북한을 방문했다. 11월로 예정된 6자회담과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이었다. 당시 북핵 문제를 둘러싸고 국제사회의 모든 이목이 후 전 주석의 방북에 집중됐다.

그는 당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중국식 사회주의 모델의 성과를 보여줌으로써 개혁개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양측 고위층 왕래 지속, 교류영역 확대, 경제협력 강화, 적극적인 협조 등 양국 우호협력 증진을 위한 4개항을 제안해 승낙을 얻어냈다.

후 전 주석의 방북 직후 김정일 위원장은 한반도 비핵화 원칙,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입장을 밝히며 한반도 비핵화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시 주석의 이번 방문도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이후 예정된 미·중 및 한·미 정상회담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후 전 주석 방문 후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내놨던 만큼 시 주석이 이번 방북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중을 파악해 비핵화 협상 동력을 되살리기 위한 외교적 중재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외교안보 전문가인 시드니 맥쿼리대학의 아담 니 연구원은 “중국은 비핵화 협상에서 미래를 결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지난 1월 4차 방중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후진타오 때처럼 북·중 협력 가속화할까

시 주석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기고를 통해 북한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시사하면서 이 점에도 이목이 쏠린다.

후 전 주석은 2005년 방북 때 20억 달러 상당의 대북 장기원조를 약속했다. 이후 중국에 대한 북한의 경제적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번 시 주석의 방문도 양국 협력이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진단이 나오고 있다. 정지융 푸단대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은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를 통해 "시 주석의 북한 방문은 양국간 전통적 우호관계를 더욱 증진시킬 것"이라며 "북한은 유엔 제재를 위반하지 않고 경제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웃국가들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위샤오화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도 "유엔의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시 주석의 이번 방문을 계기로 중국과 북한은 여전히 협력할 수 있는 많은 부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북한의 진정한 비핵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중국이 섣불리 유엔 제재 완화를 약속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다.

중국 중공중앙당교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장량구이 교수는 "유엔의 대북제재 완화는 김 위원장이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있는 사안 중 하나"라며 "시 주석의 방북 때 중국은 북한에 유엔 재재 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중국이 북한에 대북 제재 완화 약속을 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며 “중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식량·의료 지원을 하는 것은 문제없지만 제재 틀은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주석은 이날 오전 베이징에서 전용기를 타고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순안공항으로 나와 시 주석을 직접 영접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측이 공식으로 밝힌 방북 일정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개별 만남과 정상회담 그리고 북·중 우의탑 참배 행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