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發 증시 부진에 레버리지·인버스ETF에 돈 몰려

2019-06-09 12:3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G2의 무역갈등으로 주식시장이 위축되자 상장지수펀드(ETF) 중 기초자산의 수익률보다 더 높은 수익을 노리는 레버리지형이나 지수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형에 돈이 몰리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5월 ETF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조5288억원으로 전달(1조2788억원)보다 19.5% 증가했다. 코스피 시장의 5월 일평균 거래대금(5조3828억원)이 전달(5조5783억원)과 비슷한 상황에서 ETF시장만 활발해진 것이다.

특히 레버리지와 인버스형 펀드들이 ETF 시장을 이끌었다. 유형별로 보면 레버리지와 인버스형의 지난달 거래대금은 전달보다 52.2% 증가했다. 전체 ETF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국내 레버리지·인버스형이 62.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국내 주식형(28.9%)과 국내 채권형(5.0%) 순이었다.

일평균 거래대금 상위 10개 종목에는 'KODEX 레버리지', 'KODEX 200선물인버스2X',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KODEX 인버스', 'TIGER 200선물인버스2X' 등 레버리지·인버스 유형이 6개나 포함됐다.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증시 부진으로 주식형 ETF로는 수익을 내기 어려워지자 기초자산 상승률의 2배 수익을 추구하는 레버리지형이나 기초자산 하락에 투자하는 인버스형에 투자자의 관심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익률 면에서는 레버리지형이 큰 손실을 봤다. 코스피와 코스피가 지난달 7% 넘게 빠졌기 때문이다. 월간 수익률 하위 5개 종목은 코스닥150 지수 또는 코스닥150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종목들이었다.

반면 인버스 종목은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수익률 상위 10개 종목이 모두 인버스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