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상통화 유출' 파문에 엄중대응 고민…'강효상 처벌' 국민청원도
2019-05-24 13:13
靑, 조사상황·법적조치 여부 등 물음엔 "외교부가 발표할 것"...신중 모드
주미대사관 소속 외교관이 한미정상 간 통화 내용을 유출한 사건을 두고 청와대 내부에서 '엄중대응'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청와대와 정부 관계자들은 외교·안보 기밀 유출로 그 파문이 어디까지 번질지 모르는 만큼 적당히 넘길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사건의 민감성을 고려해 최대한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전경. [사진=청와대]
청와대의 한 관계자 역시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근 청와대가 외교부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감찰했을 때 야권에서는 지나친 처사가 아니냐는 비판을 했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하면 당연한 조치였다. 앞으로도 엄중한 대응이 계속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지난 23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강효상 의원과 외교부 직원을 모두 강력히 처벌해달라'라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와, 하루 만인 이날 오전 10시30분 기준 2만3000여명이 동참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통화에서 '강 의원에 대한 법적 조치를 고려하느냐'는 물음에 "진상조사 결과 및 향후 조치 등은 외교부에서 발표할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한편, 청와대 내에서는 이같은 강경한 의견과 함께, 사안의 민감성을 고려해 신중한 태도를 잃어서는 안된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아울러 일각에서는 국익적 관점에서 봤을 때 이번 사안의 파문이 확대된다면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3일 기자들을 만나 "이 사안은 한미 간의 신뢰를 깨는 문제가 될 수도 있다"며 "무엇보다 지금 한반도를 둘러싸고 안보 문제가 굉장히 민감하다. 한 발 한 발이 굉장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정상 간 말씀의 내용을 공개하는 것 자체가 또 하나의 기밀을 발설하는 행위가 된다"고 답했다. 특정 주장이 실제 통화내용과 부합하는지 아닌지 확인하는 것 자체가 기밀누설에 해당한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