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조3000억 규모 ‘퍼스트무버’형 기술개발 전략 추진

2019-05-08 17:00
과기정통부-산업부, ‘G-First 사업’ 공청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미래 산업에 필요한 원천·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도전적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자 ‘G-First (글로벌 초일류기술개발) 사업’을 공동 기획한다.

양 부처는 G-First 사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8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산학연 전문가 등 200명이 참석해 사업 주요내용에 대한 질의와 토론, 국가 R&D 방향성에 대한 패널토의가 이뤄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산자원부는 공동으로 8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G-First(글로벌 초일류기술개발) 사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석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과장이 사업개요를 발표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G-First는 G는 Global, First는 First-Mover로서 초일류 기술을 개발해 시장·산업을 선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초일류 기술개발을 위한 세부전략으로 △초고난도 기술개발(알키미스트) △세계 수준의 핵심·원천 기술개발(기술창출형) △산업 핵심 기술개발 축적(공급기지형) 등 세가지 세부사업으로 기획됐다.

또한 대규모, 중장기 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비용은 총 2조3000억원 규모(과기정통부와 산업부 공동 부담)이고, 2021년부터 2035년까지 15년간 지원 계획이다.
.
사업 지원유형은 3가지로 구분된다.

과학·산업계 난제에 도전하는 ‘알키미스트형’은 도전적 R&D를 통해 산업의 근본적 혁신을 이끌고, 도전 과정에서 전후측방 연관기술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핵심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창출형’은 산업계의 장기 수요를 반영하여 관련 분야에 파급 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원천기술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며, 과기정통부 7년 지원 종료 후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과제는 이어달리기를 통해 산업부에서 지속해서 지원할 예정이다.

연구기관의 연구역량 축적과 지속적 기술공급이 가능한 기술거점센터를 육성하는 ‘공급기지형’은 특정 기술보다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횡단형 기술군(Cross Cutting Tech) 또는 중장기적으로 산업 수요가 지속되는 기술 분야에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초고난도 과제에 도전, 경쟁형 토너먼트식 R&D, 스몰베팅-스케일업 방식, 프라운호퍼식 지원이 적용된다는 점 등에서 기존 사업과는 차별성을 띄고있다.

스몰베팅-스케일업 방식은 초기 다수의 연구자에게 과제수행 기회를 제공하고, 점차적으로 산업계 수요에 부합한 과제로 압축하여 지원 규모를 키워나가는 방식이다. 프라운호퍼식 지원은 연구소·대학의 사업화·기술이전 성과에 따라 연구비를 차등 지원한다.

양 부처는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오는 14일 예비타당성 대상선정심의(기술성평가)에 신청할 계획이다. 대상선정 이후 본 심사는 6개월가량 소요되고 올해 말에 사업 시행여부가 최종 확정된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사업 주요내용에 대한 질의와 토론 이외에도 국가 R&D 방향성에 대한 패널토의가 이어졌다.

패널토의에서는 정부의 도전적 R&D 수행 당위성, 연구 성과 제고를 위한 부처 간 연계 강화 필요성 등에 대해 산학연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오고갔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실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 사업을 통해 부처 간 성과 연계가 이루어져 기초·원천 연구 성과들이 산업계에 빠르게 확산되어 정부 연구개발(R&D)이 한 단계 도약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철 산업부 기술융합정책국장은 “정부 R&D 절반을 차지하는 양 부처가 부처 간 칸막이를 최소화하고, 공동으로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노력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