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대, 자율주행 속도 내는 현대차 등 차업계
2019-04-09 17:30
5G(5세대 이동통신망)의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5G 시대 성장동력으로 일컬어지는 자율주행차 시장도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 차업계가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는 물론, 신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20년 1890억달러(약 214조2800억원)에서 2035년 1조1520억달러(약 1306조1300억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관측되는 자율주행차 시장에 국내 차업계에 미래가 달렸기 때문이다.
◆ 현대차 자율주행 등 미래 신기술 개발에 2023년까지 약 15조 투자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2023년까지 향후 5년간 자율주행 등 미래 신기술 개발에 약 14조7000억원을 투자한다. 이 기간 총 투자금액 45조3000억원 중 무려 3분의 1에 달하는 금액이다.
아직까지는 무주공산인 자율주행차를 비롯한 미래 스마트카 시장을 선도해 글로벌 차 시장에서 추격자가 아닌 리더로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최근 몇 년간 전사적인 차원에서 자율주행 기술상용화를 목표로 힘을 쏟고 있다. 그 성과가 이를 방증한다.
현대차는 최근 자사의 대표적 중형 세단인 ‘신형 쏘나타’에 저속에서도 주행차로 유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별도 기능을 탑재하며 부분 자율주행기술 적용을 본격화했다. 신형 쏘나타는 스티어링휠에 있는 '차로유지보조'(LFA, Lane Following Assist) 버튼을 누르면 이 기능을 별도로 활성화할 수 있다. 국내 출시된 차량 가운데 LFA 버튼을 장착한 사례는 쏘나타가 처음이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말까지 차량, 보행자, 도로지형지물 등을 인식하는 '영상인식 인공지능(AI)' 개발을 마치고 3년 뒤 양산 예정 자율주행차에 적용한다. 이 기술은 2022년 양산될 자율주행차 카메라 센서에 첫 적용될 예정이다. 이 기술을 확보하면서 현대모비스가 자율주행 카메라 센서에 적용되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독자 기술력을 갖추게 됐다는 업계의 평가다.
이밖에도 현대모비스는 앞서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차용 단거리 레이다를 독자기술로 개발하는 데 성공하는 등 현대차가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는 데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단거리 레이다는 뒤따라오는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인식하고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후측방 충돌 경고 시스템(BCW)에 적용되는 장치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에 운행 중인 자율주행시험차 '엠 빌리'(M.Billy)의 영상인식 전용 시험차량을 2대에서 5대로 늘리고, 관련 인프라 등에 대한 투자도 매년 20% 늘려나갈 것"이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개발 중인 딥러닝 데이터 고속처리 기술도 올해 상반기에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발 더 나아가 현대건설기계는 국내 처음으로 자율주행 무인지게차를 개발해 이달부터 시판에 들어간다. 무인지게차는 함께 개발된 관제 시스템을 통해 최적의 경로로 자율주행하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돌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레이저로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장애물을 인식하는 차량 제어시스템이 탑재된다.
현대건설기계 관계자는 "무인지게차는 자동화를 통해 물류 순환 속도를 높이고, 재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며 "무인지게차 개발을 비롯해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관제 시스템과 무선충전시스템 등의 기술을 올해 말까지 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갈 길 멀어... 현대차 자율주행차 상용화 경쟁 15위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미국의 유력 기술조사업체인 내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구글, GM, 포드 등 미국 기업이 자율주행차 상용화 경쟁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는 일본 도요타나 중국 바이두 등에도 밀려 지난해와 같은 15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상입권 기업들은 2015년부터 2018년 초까지 자율주행차 선점을 위한 글로벌 인수합병(M&A)을 공격적으로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었다"며 "현대차를 비롯한 국내업계도 좀 더 적극적인 해외 업체 M&A와 협업 등을 통해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는 "완전자율주행, 특히 AI를 탑재한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는 2030년 이후 가능할 것"이라며 "순차적인 상용화를 고려해 국내 기술개발과 상용화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투자와 고용 창출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