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임단협 협상기한 D-10, 노조는 또 파업… “한국GM 사태 재현 우려”

2019-02-27 13:56
“글로벌 車업계 구조조정 한창… 시장상황 고려해야”

호세 비센트 드 로스 모조스 르노그룹 부회장(가운데)이 지난 21일 르노삼성 부산공장에서 공장의 현장 책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르노삼성자동차 제공]

 
르노삼성의 장기생존 가능성을 열어둘 임단협 협상 기한 열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노동조합 측은 교섭을 거부하고 ‘강경투쟁’ 일변도로 나서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대화를 거부한 채 강경노선 일변도로 나가는 노조의 대응이 결국 ‘제2의 한국GM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2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 노조는 28일 17차 본교섭을 진행하자는 사측의 제안을 거부하고 27~28일 각각 8시간의 부분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파업이 진행되면 노조의 누적 파업 횟수와 시간은 총 42차례, 160시간에 달하게 된다.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 대표는 앞서 지난 28일 노조와의 면담에서 신차 배정 및 물량확보를 위해선 다음달 8일까지 교섭을 마무리지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 22일 방한한 로스 모조스 르노그룹 부회장도 이 날까지 임단협을 마무리 할 것을 당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실상 마지노선을 제시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미묘한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생산성과 비용이라는 객관적 수치만을 토대로 공장배정을 할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 임단협이 타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를 검토조차 하기 어려워 결국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이런 절박한 상황에서도 노조는 귀를 닫고 파업이라는 강경노선만을 고집하고 있다. 노조의 파업 역시 신차배정에 있어 부정적이다. 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로 적시 납기를 하지 못한다면 르노그룹의 글로벌 평가에서 감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노조의 이같은 행보가 결국 지난해 한국GM 사태만큼이나 큰 참사를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김용진 한국자동차산업학회 회장(서강대학교 교수)은 “노조가 현재와 같은 강경노선을 굽히지 않는다면 결국 르노그룹 입장에서는 부산공장 배정 물량을 줄일 수 밖에 없고, 지난해 한국GM 사태만큼 큰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노조가 강경투쟁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상황을 고려해 합리적인 결정을 해야한다고 강조한다. 노동자가 적정한 임금을 요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구조조정이 한창인 현재 시점을 고려했을 때 무리한 요구로 ‘공멸’을 맞는 것 보다는 현실을 고려하며 최대한의 이득을 얻어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임단협에서 노조의 요구 핵심은 ‘기본급을 올려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사측은 기본급을 높일 경우 고정비 상승으로 인해 글로벌 생산성 수치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사측은 기본급을 올리는 대신 일시금 형태로 보상을 주는 안을 지속 제시하고 있다. 사측의 제시안을 보면 일시 지급금은 최대 1400만원에 달한다.

김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전체 공장을 구조조정하는 상황이며 특히 내연기관차에 대해서는 생산성을 중심으로 생산물량을 배정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며 “향후 물량 확보 등을 고려했을 때 가장 합리적인 결정은 고정비를 높이는 것보다 변동성이 있는 비용을 올리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