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독일의 ‘미텔슈탄트(중소기업) 4.0’과 혁신성장
2019-01-29 08:05
- 권기홍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기술은 마르지 않는 금광과 같다”는 독일 속담이 있다. 기계, 장비, 자동차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 기술력을 자랑하는 독일의 자긍심이 녹아 있는 말이다. 그렇다. 문제는 기술이다. 독일이 통일 이후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던 것도, 글로벌 경제위기를 가장 모범적으로 헤쳐 나갈 수 있었던 것도 모두 그들의 탄탄한 제조업 기술력 덕분이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당시 마이너스 성장의 위기를 극복함과 동시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독일의 방식은 참으로 인상적이다.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키고 동시에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선택한 그들의 전략은 다름 아닌 ‘제조업의 재발견’이었다. 독일 정부가 2009년부터 준비에 착수, 2013년에 발표한 백서 ‘인더스트리(산업) 4.0’이 바로 그것이다. 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산업을 디지털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이어 2015년에는 디지털화 과정에서 필요한 노동의 적응과 인적자본 축적방식의 변화를 담은 ‘아르바이트(노동) 4.0’, 2016년에는 이 모든 과정에 중소기업을 참여시키기 위한 ‘미텔슈탄트(중소기업) 4.0’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그것들의 실천을 위한 전략인 ‘플랫폼 인더스트리 4.0’까지 발표하고 제조업의 디지털화를 앞당기기 위한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우리 사회는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싸고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만악의 근원으로 매도되기도 했다. 불가피한 단기적 부작용을 충분히 예견하지 못하고 보완책을 제때 제시하지 못한 정부의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소모적인 논쟁을 계속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대통령도 포용적 혁신성장 또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혁신이다. 지난해 우리의 경제성적표가 초라했던 것도 소득주도성장 또는 포용성장 그 자체 때문이라기보다 함께 추진됐어야 할 혁신성장이 동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혁신이 부진했다는 데 문제의 본질이 있다.
제조업의 혁신이 과거처럼 대기업 단독으로 추진될 수는 없다. 이미 세계시장은 기업 단위 경쟁의 장이 아니라 기업생태계 단위 경쟁의 장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혁신은 과거와 달리 ‘열린 혁신(open innovation)’을 의미하고 있다. 열린 혁신의 시대에 중소기업의 혁신 주체화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그 혁신은 성공할 수 없다. 열린 혁신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협력하는 혁신이며 그 관계의 혁신이다.
이 지점에서 다시 한 번 독일의 ‘미텔슈탄트 4.0’의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 백서에는 ‘인더스트리 4.0’에 중소기업들을 집중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방법론이 제시되고 있다. 전국에 중소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24개 혁신센터를 만들고 정부, 기업, 학계가 공동 참여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끊임없이 수정·보완함으로써 생산과정의 디지털화를 통한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제조왕국다운 지혜의 소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