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초대석] 수축사회 대안 4차 산업혁명서 찾아야

2019-01-22 07:34

홍성국 혜안리서치 대표.


'수축사회'를 쓴 홍성국 혜안리서치 대표는 4차 산업혁명을 대안으로 꼽는다. 뜻밖일지 모른다.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를 줄일 공산이 크다. 즉, 수축사회를 초래한 수요감소·공급과잉이라는 악순환을 더 심화시킬 것이다.

홍성국 대표는 21일 본지와 만나 "4차 산업혁명이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그러나 이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뛰어들지 않아도 다른 국가나 기업은 반드시 할 것"이라며 "역사는 거스를 수 없고 모든 국가와 기업 간 경쟁도 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역설적이지만 4차 산업혁명에서 밀리면 수축사회에서도 영영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 앞서 전제돼야 할 것은 '전인교육'이다. 사고방식이나 관행이 모두 바뀌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지금과 같은 교육체계와 기득권 지키기가 유지되는 한 4차 산업혁명은 불가능하다"며 "공유택시와 원격진료처럼 갈등을 유발하는 산업에 대해서는 단계별로 기득권을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업 문화 역시 바로잡아야 한다.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을 보면 대부분 '3세 승계'가 끝났다. 그는 "기업인과 기업을 분리해야 한다"며 "총수 일가가 일탈·위법을 저지르면 엄벌하되 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기업을 유치하고, 밖으로 나가려는 우리 기업을 잡으려면 규제 개혁도 필요하다.

수축사회에서는 경제적인 약자가 돈을 벌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재테크가 성공할 확률도 줄어든다. 그나마 남은 팽창사회형 국가나 산업, 기업, 부동산에 투자하라는 조언이 나오는 이유다. 홍성국 대표는 "과거에는 현금 10%와 투자 90%를 권했다"라며 "이제는 70%가량을 위험자산에 넣고 30%는 현금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투자원칙처럼 제시돼온 장기투자도 먹히기 어렵다. 그는 "가치투자랍시고 막연하게 장기투자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회사가 성장세를 유지하는 기간은 점점 짧아지고 있고, 이는 수축사회를 보여주는 큰 특징"이라고 전했다.

투자처는 국내에서만 찾지 말고 해외로 넓혀야 한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수축사회에 대응할 사회적 자본도 부족하다. 그는 "우리가 현재 겪고 있는 갈등도 사회적 자본을 쌓지 못한 데 따른 것"이라며 "극단적인 정치 대립, 법치주의 부재, 패거리 문화, 폐쇄적인 개인주의도 사회적 자본과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