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판교테크노밸리를 정책 상품으로 만들어 수출해야"

2018-12-16 10:05
"2017년 판교제1테크노밸리 매출액 79.3조원...경기도의 대표적 혁신클러스터"

판교제1테크노밸리[사진=아주경제DB]


판교제1테크노밸리의 성공적인 조성에 이어 판교제2테크노밸리가 조성중인 가운데, 경기도의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판교테크노밸리의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글로벌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기 위해 판교테크노밸리 정책을 상품으로 만들어 국내외로 수출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6일 판교테크노밸리의 현황과 성공요인을 살펴보고,플랫폼 전략을 이용한 테크노밸리 구축 방법론을 제시하며, 판교테크노밸리 정책 상품 수출 방안을 제안한 ‘판교테크노밸리, 정책 수출 상품으로 확산’ 보고서를 발표했다.

판교제1테크노밸리는 2005년부터 성남시 삼평동 일대에 경기도가 조성해 현재 IT, CT, BT 융합기술 중심의 클러스터로 발전했다. 카카오 엔씨소프트 블루홀 메디포스트 등 국내 유수의 IT⋅게임⋅바이오 분야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과 카이스트 등 첨단 기술 관련 연구기관도 입주해 있다. 2017년 기준 입주기업은 1270개, 임직원은 6만2575명, 매출액은 79.3조원에 달하는 거대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발전했다.
 

판교제2테크노밸리 조감도 [사진=아주경제DB]


판교제2테크노밸리는 2015년부터 경기도와 중앙정부가 적극 협력해 성남시 금토동 일대에 4차 산업혁명 및 자율주행 중심의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중이다. 기업지원허브, 기업성장센터, 글로벌 Biz센터 등 혁신지원센터를 건립해 미래기술을 선도할 혁신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판교테크노밸리는 외국 정부의 고위관료가 한국 방문 시 혁신클러스터 투어코스가 될 정도로 벤치마크 대상으로 해외에도 잘 알려져 있다. 중국 리커창 총리, 코스타리카 대통령, 캐나다 BC주 수상, 에스토니아 대통령 등 다수의 해외 지도자들이 판교를 방문한 바 있다.

성영조 경기연 연구위원은 “판교테크노밸리의 성공요인으로 공공에 의한 체계적인 계획, 4차 산업혁명 관련 업종의 유치, 창업⋅혁신 생태계 구축 지원 등을 들 수 있다”며 “판교의 경험을 바탕으로 테크노밸리 구축 방법론을 정립하여 판교테크노밸리 정책을 상품으로 수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플랫폼 전략을 이용한 3단계 테크노밸리 구축 방법론을 제안했다. 1단계는 해당 지역 테크노밸리의 비전과 정책목표를 설계하고, 2단계는 테크노밸리의 수요자와 공급자, 플랫폼 서비스, 거버넌스 등의 콘텐츠를 설계하며, 3단계는 테크노밸리의 공간 설계 및 건설을 추진하는 것이다.

판교테크노밸리 정책의 수출 방안으로는 △판교테크노밸리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정책 상품 기획 △홍보 및 마케팅 채널을 구축하여 온·오프라인 마케팅 병행 △국내외 과학기술단지와 네트워크 구축 △정책 상품의 수출 방법론 체계화 △정책 수출을 위한 전담조직 구성을 제안했다.

성 연구위원은 “판교테크노밸리를 정책 상품으로 만들면 내부적으로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외부적으로는 해외 혁신기업과 스타트업이 판교로 유입돼 판교테크노밸리를 글로벌 클러스터로 발전시킬 수 있다”며 “판교테크노밸리 정책 수출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정책 수출의 범위를 교통 주택 환경 등 다방면으로 확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