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무릎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 치료
2018-11-28 19:00
![[전문가 기고] 무릎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 치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1/28/20181128103020366096.png)
76세 여성 환자분이 무릎이 아프다고 진료실에 들어왔다. 이 환자는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다른 병원에서 5년 전 인공관절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로, 수술 후에는 통증도 좋아지고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이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몇 달 전부터 무릎이 붓고 열감이 있고 통증이 악화됐다. 관절 천자검사를 했는데, 균에 의한 감염이 있는 것으로 나와 인공관절을 빼고 항생제가 섞인 시멘트를 넣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 환자는 추후 감염에 의한 염증이 다 없어지면 인공관절을 다시 넣는 수술을 계획하고 있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골관절염 진행 등으로 연골이 닳아 손상된 뼈를 제거하고 금속으로 된 인공관절을 삽입해 통증을 없애고 정상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술이다. 인공관절 수술을 받고 재활이 끝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그동안 달고 살았던 통증이 없어져 생활에 매우 만족하며 지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환자들이 항상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은 아니다. 어떤 환자들은 위의 환자처럼 수술 후 잘 지내다가도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어떤 환자들은 수술 후에도 통증이 전혀 호전되지 않았다고 호소하기도 하며, 심지어 수술 전보다 통증이 더 심해졌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치료도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인공관절 금속의 해리는 금속이 골조직과 분리돼 움직이는 현상으로, 수술 후 수년 또는 수십년 통증의 흔한 원인이다. 해리는 보통 수술 후 몇 년이 경과한 후에 생기므로 수술 직후에 통증이 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통증이 서서히 진행되었는지 또는 갑자기 생겼는지, 최근 며칠 사이 생겼는지 아니면 오래전에 생겼는지, 통증이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지속적인지 등과 같은 통증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원인을 찾을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갑자기 생긴 통증은 골절 같은 급성 손상에 의한 결과일 수 있고, 서서히 진행된 경우라면 금속의 해리와 더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몇 주, 몇 달 안에 생긴 통증이거나 점점 악화되는 통증이라면 감염을 꼭 고려해 보아야 한다. 통증의 양상 파악과 함께 엑스레이 검사, 뼈 스캔, 자기공명영상(MRI), 관절천자검사 등은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증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인을 모른 채 치료를 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통증 조절 약과 물리치료로 통증이 좋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감염·해리 등의 문제에 의한 통증이라면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요즘은 인공관절 수술의 발달로 과거보다 오래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이 다시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조기에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