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35% "검찰·금융감독원이 돈 안전하게 보관해줘" 오인
2018-10-30 12:00
![대학생 35% 검찰·금융감독원이 돈 안전하게 보관해줘 오인](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0/30/20181030112950309650.jpg)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3일부터 14일까지 전국 61개 대학교 13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보이스피싱 범죄수법과 처벌에 대해는 대체로 잘 알고 있으나, 정부기관에서 ‘돈을 안전하게 보관해 준다’고 잘못 알고 있는 대학생이 35.2%에 달했다.
조사에 참여한 대학생의 95.1%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며, 40.6%는 보이스피싱 전화·문자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이 받은 보이스피싱 전화 유형 중에는 '검찰·금융감독원 등 정부기관 사칭형'이 45%로 가장 많았고, '채용·알바를 이유로 개인금융거래정보 제공요구(25%)', '대출빙자형(23%)'도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을 위해서 강력한 단속·처벌(55.5%), 교육·홍보(40.3%), ATM 지연인출시간 연장(3.8%)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또한 SNS를 활용한 홍보가 젊은 층에게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73.6%로 가장 많았으며, TV·라디오 방송(18.2%), 검색포털 광고(7.4%) 순으로 뒤를 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설문조사 결과 금융에 관심있는 대학생의 상당수가 보이스피싱 피해대상 및 범죄수법 등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홍보·교육 활동 시 이를 감안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