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경제, 정점 지났나…곳곳에 '내리막' 신호

2018-10-28 07:04
3분기 성장률 3.5% 선방했지만, 성장둔화 우려 확산…증시·통화정책 등 영향 촉각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경제의 성장둔화 조짐이 짙어지고 있다. 뉴욕증시의 파란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6일 3분기 성장률이 3.5%(전분기 대비 연율)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기대치(3.4%)는 넘겼지만, 2분기의 4.2%엔 한참 못 미쳤다. 물론 2009년 이후 성장률이 대개 2%안팎이었던 데 비하면, 올 1~2분기 성장세는 10년 만에 가장 강력했다.

같은 날 뉴욕증시는 반등 하루 만에 다시 떨어졌다. 실적 우려와 관련한 기술주 부진에 성장둔화 우려가 맞물린 결과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미국 경제가 이제부터 '내리막'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성장둔화는 증시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지적했다.

WSJ가 지난달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유력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의 성장률이 내년 1분기와 3분기에 각각 2.5%, 2.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준은 성장률이 2021년에 1.8%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다. 경기침체가 임박한 건 아니지만, 경기확장세는 이미 정점에 도달했는지 모른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미국 성장률 추이(전분기 대비 연율 %)[사진=FRED]


미국 경제는 2009년 3분기에 금융위기발 경기침체에서 벗어나 줄곧 성장했다. 내년 7월이면 역대 최장기 확장 기록이 된다.

마이클 개펀 바클레이스캐피털 미국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성장세가 이제 막 정점에 도달했는지 모른다"며 올해 성장을 주도한 소비와 정부지출이 앞으로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소비가 늘어난 건 감세 덕분인데, 이 효과는 보통 관련 입법 이후 첫 2개월간 반짝 나타난 뒤 8분기에 걸쳐 시들해진다고 지적했다. 강력한 저축과 낮은 실업률이 그나마 소비가 급감하는 걸 막아줄 것이라는 관측이다. 개인소비지출은 3분기에 4% 늘어 증가폭이 2014년 4분기 이후 가장 컸다.

백악관과 의회가 지난 2월 연방정부 지출을 3000억 달러 늘리기로 합의한 것도 성장세를 뒷받침했다. 문제는 이 합의가 내년 9월이면 끝난다는 점이다. 재정지출 확대 효과를 연장하려면 추가 합의가 필요한데 예산 문제는 만만한 게 아니다.

개펀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성장세를 좌우할 '와일드카드'로 기업들의 투자를 꼽았다. 백악관도 지속적인 3%대 성장 목표 달성 여부가 기업투자에 달려 있다고 본다. 법인세를 35%에서 21%로 낮춘 이유다.

기업투자가 올 1분기에 11.5% 늘면서 전략이 통하는 듯 했지만, 3분기에는 증가세가 0.8%로 쪼그라들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베스 앤 보비노 이코노미스트는 대규모 감세 조치 이후에 일어난 변화라 더 걱정스럽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백악관이 감세 효과로 기업투자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하지만, 그러기엔 미·중 무역전쟁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고 지적한다. 

기업들의 투자행보는 연준의 통화정책 향방, 특히 금리인상 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 예로 기업들이 소프트웨어나 기계설비 등에 투자를 늘려 생산성을 높이면,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더 빨리 성장할 수 있다. 연준의 금리인상 압력이 낮아지는 셈이다. 반대로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면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안 그래도 금리에 민감한 부문은 이미 연준의 금리인상 후폭풍을 겪고 있다. 주택건설이 대표적이다. 지난 6분기 동안 5분기나 위축됐다. 아울러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는 미국의 수출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연준은 올 들어서만 기준금리를 세 번이나 올렸다.

개펀 이코노미스트는 투자자들이 성장둔화 낌새를 알아차린 게 최근 뉴욕증시가 급락한 배경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몇 개월간 이어진 전문가들의 경고를 이제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