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이달이냐 내달이냐… 韓銀에 쏠리는 눈

2018-10-14 19:00
전문가들 10월 가능성에 무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5일 인천 한국은행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워크숍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올해 한 차례 금리 인상론에 힘이 실리고 있어 그 시기에 관심이 쏠린다.

한은은 오는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을 논의한다. 현재 시장에서는 올해 한 차례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

우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호키시(매파적) 발언이 이유다. 그는 이달 초 기자단 워크숍에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목표 수준 물가에 점차 근접해 나간다는 판단이 서면 금융 안정도 비중 있게 고려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은의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허정인 NH선물 연구원은 이 총재의 발언에 대해 “잠재성장률 수준이 유지된다면 금융 안정을 비중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그동안 총재가 취했던 중립 매파의 스탠스에서 호키시한 톤이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한은이 10일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에서 한 금통위원의 말도 내부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그는 “가계대출뿐 아니라 기업대출도 함께 고려해 펀더멘털 차원에서 점진적 디레버리징(deleveraging, 부채 축소) 방안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밝힌 것도 금리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금통위에서 추진이 가능한 부채 축소 방안은 유동성 회수다. 이를 위해서는 금리 인상이 선행돼야 한다. 즉 기존의 과도한 유동성이 부동산 등 시장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받아온 만큼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외에도 한은의 기준금리 결정 배경중 하나인 물가가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되고 금리차 확대에 따른 자금이탈 우려 등도 인상을 지지하는 요인이다.

문정희 KB증권 연구원은 “9월 소비자물가가 시장의 예상을 상회했고, 3분기 1.6%에 이어 4분기 2.2% 물가전망을 감안하면 한국은행이 7월 제시한 하반기 1.8% 물가 전망은 무난하게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동수 유진증권 연구원은 “장기적인 금리 완화 조치로 한미 금리 역전 폭 확대, 소득을 상회하는 가계대출 및 주택가격 상승 등 금융 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다”며 “지난 8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3명의 금통위원이 매파적 입장을 보였고, 중립적이었던 두 명의 금통위원도 금융불균형 누적, 물가 상승에 연동된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매파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다만 시기가 문제다. 올해 금통위는 10월과 11월 단 두 차례를 남겨두고 있다. 우선 전문가들은 10월 인상에 무게를 싣는 모양새다.

신 연구원은 “10월 금통위에서의 금리인상이 가시권에 진입했다”며 “완화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조동철 위원을 제외할 경우 대부분 금통위원이 금리인상에 동조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문 연구원도 “실물경기의 둔화 가능성은 있으나 4분기에 물가상승 압력 확인, 금융안정 등을 근거로 10월 금리인상 전망을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11월 인상론은 한은의 입장을 고려한 바가 크다.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 그리고 여당 의원들의 금리인상 발언이 잇따른 만큼 10월에 금리를 인상한다면 한은이 정치권에 끌려다닌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금리인상은 총리의 금리 발언 영향으로 10월보다 11월로 지연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면서 “한은의 통화정책이 독립적으로 수립된다는 인상을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