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포스코가 한계기업? 한계 드러낸 정의당 의원
2018-10-12 21:34
굴지의 포스코그룹을 이자도 못 갚는 '한계(限界)기업'에 빗댄 정의당 추혜선 의원이 '능력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추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포스코 주가가 2007년 10월 75만5000원에서 2016년 1월 15만2000원까지 떨어졌고, 11일 종가는 25만7000원으로 기업가치가 약 70% 하락했다"며 "이 정도면 시장에서 포스코를 한계기업으로 냉정하게 판단하고 있는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한계기업은 한자대로 재무상태가 한계에 달한 기업을 일컫는다. 부채상환 능력 등이 열위에 있기 때문에 상장사라면 한국거래소의 규정에 따라 퇴출 대상이다.
실제 무디스, 피치, S&P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올해 포스코에 대한 신용등급 및 전망을 일제히 상향했다.
반면 단순히 주가가 하락했다는 이유로 '한계기업' 범주에 들어가야 한다면 대상은 많다. 가장 좁혀 포스코와 더불어 국내 빅3 철강사인 현대제철, 동국제강만 살펴봐도 그렇다.
현대제철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주가는 8만8800원에서 4만8850원을 거쳐 4만9950원을 기록했다.
추 의원이 발언할 당시 이런 사실들을 몰랐다면 무능이지만, 그런 가능성은 낮다. 반면 정치적인 의도는 다분한 것으로 볼 여지는 크다.
그는 이날 포스코건설과 포스코엔지니어링이 2011년 인수한 EPC와 산토스의 분식 회계 의혹을 제기하고, 피감기관인 금융감독원의 윤석헌 원장에게 인수·합병, 회계처리, 배임 등 감리를 촉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계기업'이란 단어를 선택해 주가 하락 등 포스코 부실화를 부각시키고, 부도덕한 경영진의 책임으로 연결지으려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추 의원이 제기한 부실 인수·합병 주장도 근거는 약하다. 당시 포스코가 중남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EPC와 산토스 인수를 결정한 데는 회계법인 등을 통한 기업가치평가 등이 고려됐다. 적법한 과정을 거쳤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권오준 전 회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2시간여를 할애해 해명한 바 있다.
사법기관의 판단에 맡겨야 할 케케묵은 일을 국정감사에서 질타하는 것은 의도가 선량할 지라도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
잃는 것도 있다. 묵묵히 일해 온 1만8000여명 포스코 임직원을 비롯, 잠재적 한계기업으로 치부된 전체 노동자들의 사기는 저하됐다. 외국인들도 정치권에서 십자포화를 받는 포스코에 대한 투자를 줄일 가능성도 있다.
정치가 경영에 개입할 때 어떤 결과가 나왔는 지 복기한다면, 이번 발언의 엄중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