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위 정부-민간 출석률 ‘25% vs 70%’...유영민 장관, 올해 참석률 ‘제로(0)’
2018-10-08 12:04
변재일 의원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대한 정부 의지 부족"
장병규 위원장, 지난달 국토부 소극적 참여 지적
장병규 위원장, 지난달 국토부 소극적 참여 지적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사진=4차산업혁명위원회]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의 정부위원 출석률이 민간위원에 한참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기술(ICT)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유영민 장관은 올해 한 차례도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각 부처 수장들의 소극적 참여가 승차 공유, 데이터산업 활성화 등 신산업 규제 완화가 더딘 대표적인 이유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4차위 지원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차위 1기 민간위원 회의 출석률은 70.4%인데 반해 정부위원은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위 전체위원은 105명으로, 이 중 민간위원은 89명, 정부위원은 16명이다. 정부위원은 문미옥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과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장관 등을 포함한다.
장병규 4차위원장이 주재하고 민간위원 20명, 주요 부처 장관이 참석하는 전체회의의 정부위원 출석률은 40.9%로, 민간위원 출석률(85.9%)에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었다. 장관을 대신해 차관이 출석하는 행태도 빈번했다. 장관 5명은 8번의 회의 중 1~3회만 출석했고 나머지는 차관이 대리 출석했다. 유영민 장관은 올해 개최된 회의에 단 한 번도 참석하지 않았다.
4차산업혁명위원회 정부위원 출석 현황[사진=변재일 의원실]
모든 정부위원이 출석하지 않은 회의도 있었다. 지난 6월 26일에 개최된 7차 전체회의에는 장관인 정부위원은 단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고, 문미옥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도 불참했다. 이날 4차위는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을 심의‧의결했다.
변 의원은 “4차위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콘트롤타워로서 이해관계당사자와 부처 간 이견을 조율해 빠르고 뚜렷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으나 1기 활동의 성과가 미흡해 아쉬움이 많다”며 “4차위 정부위원의 낮은 출석률은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대한 정부의 부족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당시 장 위원장은 “주무부처의 움직임이 미온적이다. 저도 그렇게 느끼고 있다”며 “10개월간 느낀 결과 국토부와 지자체가 움직이는 것이 맞는다고 본다. (택시업계에 대한) 어느 정도 압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