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하남·김포·고양 ‘3기 신도시’ 후보지 거론지역 가보니
2018-09-27 15:53
정부가 치솟는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수도권 3기 신도시’ 개발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하남·김포·고양 등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에서는 개발에 대한 기대감보다 실제 신도시개발이 이뤄질지에 대한 의구심이 팽배했다. 그동안에도 수차례 개발설이 나돌았다가 무산된 경험을 한데다 개발이 실제로 추진되더라도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고 걸림돌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부동산 업계에서 유력 후보지로 꼽히는 곳은 과거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다가 해제된 경기 광명·시흥지구와 경기 하남 감북지구다. 경기 고양 화전동이나 장항동 일대도 물망에 오른다. 가용부지가 많은 남양주와 김포 고촌읍, 구리 토평 등도 언급된다.
27일 김포 고촌읍 신곡8리 버스정류장에서 만난 한 여성은 “정부가 개발 계획이 있다는 얘기는 예전부터 돌았다”면서 “그런데 아직 가시화한 게 아무것도 없지 않으냐”라고 말했다.
신곡8리 마을회관 인근에 위치한 G중개업소 대표도 “고촌읍이 정말 3기 신도시에 포함되는 거냐고 묻는 전화가 많이 온다. 그린벨트 지역 가운데 어디가 개발될 땅인지 궁금해하는 분들도 많다”면서도 “그린벨트 풀린다는 얘기는 매번 나왔지만 막상 한 번도 풀린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러다 말겠지’라는 생각이 강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고촌읍 태리 일대는 재작년 4월 정부의 2차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에 선정돼 주민공람까지 마쳤지만 주민반발과 군부대(17사단) 및 사업지구 내 제한보호구역 협의 등이 발목을 잡으며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간신히 군부대와 협의를 마쳤지만 환경부와의 협의도 난항이다.
G중개업소 대표는 “김포 한강신도시 쪽 사람들은 여기가 개발되면 안 그래도 인기 없는 아파트값이 더 내릴까 걱정이 많다”고 덧붙였다. 2004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돼 2011년부터 입주가 시작된 김포 한강신도시는 열악한 교통 수단 때문에 '미분양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했던 곳이다. 서울로 출퇴근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은 아직도 버스가 유일하다. 올 11월에 김포공항역까지 연결되는 도시철도가 개통 예정이었지만 자재수급과 인허가 등의 문제가 불거지며 내년 7월로 연기됐다.
고촌 버스정류장 인근에 위치한 C중개업소 대표도 “서울시에선 절대로 그린벨트를 못 푼다고 하는데 여기가 개발이 되겠느냐”며 “개발지로 확정된다 해도 보상금 액수를 놓고 LH와 지주들 간 마찰이 있을 것이다. 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다리려면 몇 년은 걸릴 것”이라고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
고양 화전동 일대도 상황은 비슷했다. 화전역사 내 의자에 앉아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던 한 남성은 이곳 화전동이 3기 신도시에 편입될 수도 있다는 말에 고개를 가로저었다. 그는 “25년 전 군부대(30사단)가 이사간다고 해서 서울 북아현동에 살다 이쪽으로 이사왔다”며 “그때부터 개발된다는 말만 있었지 현실화한 건 아무것도 없다. 군부대를 옮길 만한 데가 마땅하지 않으니까”라고 말했다.
인근 S중개업소 대표 역시도 “이 지역 개발 얘기 나온 지는 10년이 넘었다”며 “이곳 지주들은 마음 비우고 도 닦는 심정으로 땅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장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로 거론되는 하남 감북지구 일대는 개발 기대감이 없을 뿐 아니라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현지에서 만난 주민 A씨는 "규제가 해소된 지 얼마나 지났다고 또다시 개발 얘기가 나오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아직 정부가 우리 지역을 주택 공급지로 확정하지 않아 반대의 목소리는 수면 밑에 가라앉아 있지만 조금씩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하남 감북지구는 2010년 12월 정부가 인근의 감일·광암·초이동을 비롯해 서울 강동구 둔촌동, 송파구 방이동, 오금동 일원과 함께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고시한 바 있다. 하지만 국토부는 2015년 보상 문제와 지나친 주택 건설 등을 이유로 감북지구를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해제했다.
감북동 K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외부에서 토지나 창고 매물이 있는지 묻는 전화가 일부 있었지만 거래로 이어지고 있지는 않다"면서 "주민들은 보상에 대한 관심보다 일방적으로 삶의 터전을 뺏길 수 있다는 데 불안감이 더욱 크다"고 말했다.
개발이 된다고 해서 서울 수요가 흡수되겠느냐는 의구심도 있었다. 화전동에서 20여년째 살고 있다는 한 남성은 “수도권에 집 짓는다고 강남 집값이 내릴 거라곤 생각지 않는다”면서 “서울 집값은 요지부동이고 경기도만 과열될 것이다. 여기가 개발된다고 하면 투기지역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의 입장도 비슷했다. 권일 부동산 인포 팀장은 “과도하게 서울로 쏠리는 수요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순 있을 것”이라면서도 “추가로 지정될 신도시에서 서울 수요를 다 감당하긴 어려울 뿐 아니라 1·2기 신도시가 일대 집값을 상향평준화시킨 것처럼 3기 신도시도 집값을 과열시킬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업계에서 유력 후보지로 꼽히는 곳은 과거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다가 해제된 경기 광명·시흥지구와 경기 하남 감북지구다. 경기 고양 화전동이나 장항동 일대도 물망에 오른다. 가용부지가 많은 남양주와 김포 고촌읍, 구리 토평 등도 언급된다.
27일 김포 고촌읍 신곡8리 버스정류장에서 만난 한 여성은 “정부가 개발 계획이 있다는 얘기는 예전부터 돌았다”면서 “그런데 아직 가시화한 게 아무것도 없지 않으냐”라고 말했다.
신곡8리 마을회관 인근에 위치한 G중개업소 대표도 “고촌읍이 정말 3기 신도시에 포함되는 거냐고 묻는 전화가 많이 온다. 그린벨트 지역 가운데 어디가 개발될 땅인지 궁금해하는 분들도 많다”면서도 “그린벨트 풀린다는 얘기는 매번 나왔지만 막상 한 번도 풀린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러다 말겠지’라는 생각이 강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고촌읍 태리 일대는 재작년 4월 정부의 2차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에 선정돼 주민공람까지 마쳤지만 주민반발과 군부대(17사단) 및 사업지구 내 제한보호구역 협의 등이 발목을 잡으며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간신히 군부대와 협의를 마쳤지만 환경부와의 협의도 난항이다.
G중개업소 대표는 “김포 한강신도시 쪽 사람들은 여기가 개발되면 안 그래도 인기 없는 아파트값이 더 내릴까 걱정이 많다”고 덧붙였다. 2004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돼 2011년부터 입주가 시작된 김포 한강신도시는 열악한 교통 수단 때문에 '미분양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했던 곳이다. 서울로 출퇴근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은 아직도 버스가 유일하다. 올 11월에 김포공항역까지 연결되는 도시철도가 개통 예정이었지만 자재수급과 인허가 등의 문제가 불거지며 내년 7월로 연기됐다.
고촌 버스정류장 인근에 위치한 C중개업소 대표도 “서울시에선 절대로 그린벨트를 못 푼다고 하는데 여기가 개발이 되겠느냐”며 “개발지로 확정된다 해도 보상금 액수를 놓고 LH와 지주들 간 마찰이 있을 것이다. 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다리려면 몇 년은 걸릴 것”이라고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
고양 화전동 일대도 상황은 비슷했다. 화전역사 내 의자에 앉아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던 한 남성은 이곳 화전동이 3기 신도시에 편입될 수도 있다는 말에 고개를 가로저었다. 그는 “25년 전 군부대(30사단)가 이사간다고 해서 서울 북아현동에 살다 이쪽으로 이사왔다”며 “그때부터 개발된다는 말만 있었지 현실화한 건 아무것도 없다. 군부대를 옮길 만한 데가 마땅하지 않으니까”라고 말했다.
인근 S중개업소 대표 역시도 “이 지역 개발 얘기 나온 지는 10년이 넘었다”며 “이곳 지주들은 마음 비우고 도 닦는 심정으로 땅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장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로 거론되는 하남 감북지구 일대는 개발 기대감이 없을 뿐 아니라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현지에서 만난 주민 A씨는 "규제가 해소된 지 얼마나 지났다고 또다시 개발 얘기가 나오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아직 정부가 우리 지역을 주택 공급지로 확정하지 않아 반대의 목소리는 수면 밑에 가라앉아 있지만 조금씩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하남 감북지구는 2010년 12월 정부가 인근의 감일·광암·초이동을 비롯해 서울 강동구 둔촌동, 송파구 방이동, 오금동 일원과 함께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고시한 바 있다. 하지만 국토부는 2015년 보상 문제와 지나친 주택 건설 등을 이유로 감북지구를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해제했다.
감북동 K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외부에서 토지나 창고 매물이 있는지 묻는 전화가 일부 있었지만 거래로 이어지고 있지는 않다"면서 "주민들은 보상에 대한 관심보다 일방적으로 삶의 터전을 뺏길 수 있다는 데 불안감이 더욱 크다"고 말했다.
개발이 된다고 해서 서울 수요가 흡수되겠느냐는 의구심도 있었다. 화전동에서 20여년째 살고 있다는 한 남성은 “수도권에 집 짓는다고 강남 집값이 내릴 거라곤 생각지 않는다”면서 “서울 집값은 요지부동이고 경기도만 과열될 것이다. 여기가 개발된다고 하면 투기지역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의 입장도 비슷했다. 권일 부동산 인포 팀장은 “과도하게 서울로 쏠리는 수요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순 있을 것”이라면서도 “추가로 지정될 신도시에서 서울 수요를 다 감당하긴 어려울 뿐 아니라 1·2기 신도시가 일대 집값을 상향평준화시킨 것처럼 3기 신도시도 집값을 과열시킬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