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콘텐츠形 소득 주도 성장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2018-09-26 13:32
김용희 숭실대 교수

[김용희 숭실대 교수]


디지털 기술은 방송의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였다. 소비자들에게 최고의 순간을 제공하고자 기술 발전에 박차를 가해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미디어 기술의 발전 속도보다는 시청자의 기대 수준이 높은 게 사실이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콘텐츠 관련 산업들은 작게나마 성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성장의 한계 또한 도래한 것도 사실이다. 콘텐츠 제작 환경이 미디어의 다양화에 따라 성장해야 하는데, 콘텐츠 수요가 따라오지 못해 관련 사업자들의 수익이 증가하지 못하고 경쟁만 심화돼 콘텐츠 산업별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콘텐츠 시장 재원의 중심이 되는 광고 시장과 콘텐츠 수출 시장이 정체돼 있기 때문이다. 게임 분야를 제외하면 콘텐츠 산업으로 분류되는 대부분 산업이 성장 동력 마련이 절실하다.

또한 콘텐츠 사업자들의 전체적인 매출은 늘고 있지만, 개별 사업자들의 매출 증가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콘텐츠 유통 구조의 다변화 때문에 OTT(Over The Top, 온라인 동영상서비스)나 인터넷 쪽으로 매출이 전이되고 있고, 제작사나 PP(방송채널 사용 사업자)의 수 증가 때문에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사업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재원이 부족해 콘텐츠 산업이 어렵다고 대부분 사업자가 인식하고 있다.

이처럼 콘텐츠 시장은 전반적으로 성장 동력이 부족한 실정이며, 추가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콘텐츠 분야에도 소득주도 성장 관점의 진흥정책이 필요하다. 소득주도 성장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 핵심 철학이자 전략이다. 소득주도 성장의 등장 배경은 소비가 늘면 경제가 성장한다는 임금 주도 성장에 기인한다.

대기업의 성장에 따른 '낙수효과'에 기대하기보다는 근로자의 소득을 인위적으로 높이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콘텐츠 사업에서도 대기업이나 지상파 성장에 따른 하위 산업의 낙수효과보다는 콘텐츠 수요 자체를 끌어올려 산업 전체 성장을 도모해야 하는 콘텐츠형 소득 주도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콘텐츠 활성화 전략은 투자(제작지원, 교육지원)를 늘려 활성화하는 전략이 핵심이었는데, 제작을 늘렸다고 소비할 시장이 크게 늘지 않는다(채널을 무한정 늘릴 수 없으므로).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했다고 하나 앞서 언급한 대로 광고 시장이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를 소비할 시장 역시 늘지 않는다. 그래서 콘텐츠에 대해서 박리다매 형식으로 판매하려고 하거나 수출에 매몰돼 있으나 그 성장 폭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먼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전략 산업과 연계를 통해 신유형 미디어의 연구개발(R&D), 인적 개발이 필요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공동 R&D 및 훈련센터 구축이 요구된다. 기업 및 사업 단체 등의 컨소시엄 공동훈련센터가 지역 특성화 콘텐츠 기업과 공동훈련 협약을 맺고, 자신이 보유한 기술에 콘텐츠를 접목할 수 있는 맞춤형 기술과 훈련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선도적으로 정부가 소비해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산 빛마루 방송지원센터 같은 시설을 전국 주요 거점에 설치해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된 R&D 기술을 개발하고 단일 기업이 개발하기 어려운 기술을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발해 기술과 인력을 동시에 공급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정비와 자원지원이 요구된다. 산업별로 임금, 고용형태, 근로조건이 다르므로 이러한 산업적 특성을 반영한 인력양성 및 수급정책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관점의 자원 투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