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점화된 주식 거래시간 논란···쟁점은?

2018-09-23 06:00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거래소 서울사옥. 사진=한국거래소 제공]


주식 거래시간을 30분 연장한 지 2년여가 지났지만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여전하다. 거래시간 연장이 거래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노동 강도만 높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23일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사무금융노조) 자료를 보면 주식 거래시간을 연장하기 전 2014년 4분기부터 2016년 2분기까지 유가증권시장 거래량은 총 1819억7989만4414주로 집계됐다. 이후 2016년 4분기부터 2018년 2분기까지 거래량은 1583억3955만8757주로 13%가량 줄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사무금융노조는 최근 거래시간 연장 효과가 없다고 주장했다. 거래소는 2016년 8월부터 주식 거래시간을 기존 6시간(오전 9시~오후 3시)에서 6시간30분(오전 9시~오후 3시30분)으로 연장한 바 있다.

국내 증시의 거래 시간이 해외보다 짧아 거래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 아시아 주요시장과 마감시간이 맞지 않아 해외지수 연동 증권상품의 괴리율을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를 보완하고자 유동성이 집중되는 장 종료시간대를 연장했다.

노조는 "중국의 거래시간은 하루 4시간이고 일본의 경우 정규 거래시간을 연장한 것이 아니라 점심시간 휴장을 30분 단축한 것"이라며 "아시아 국가 가운데 마감시간을 연장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고 지적했다.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거래시간 연장보다 거래 시스템 개선이 더 효율적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최근 사무금융노조 주관으로 열린 '증권 노동자 장시간 노동시간 해결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구기동 신구대 글로벌경영학과 교수는 "증권거래는 거래시간의 길이보다는 시황(정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며 "국제거래시스템과 국내 시스템의 효율적 연계 구조에서 효율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토론자로 나선 권오현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는 "거래시간 연장은 글로벌 경쟁력 제고, 투자자의 거래불편 해소, 증시 침체 돌파를 위한 모멘텀 형성이라는 배경 아래에 추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본부장보는 "거래소는 증권업계 노동자의 업무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종가 정보 분배시간을 최대 1시간 10분 단축하고 시가 단일가 시간 단축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