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주민들의 오랜숙원 장유여객터미널 2020년에 건립 '본격화'
2018-09-12 16:28
최신 터미널과 부대시설, 상업시설 갖춘 복합시설로 추진
김해시가 오는 2020년 장유여객터미널을 건립해 주민 숙원 해결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임시 장유 버스 정류장 모습.[사진=김해시 제공]
15만 장유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장유여객터미널 건립 추진이 본격화 되고 있다.
1만1,368㎡ 자동차정류장 부지를 입체적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해 터미널(지하1층, 지상4층)과 상업시설(지하3층, 지상15층)을 복합 개발하는 장유여객터미널은 광역 교통망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침체되고 있는 장유 무계지역의 경제에 활기를 되찾게 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터미널 건립 부지는 1993년 3월에 자동차정류장(일반상업지역) 도시계획시설로 최초 결정돼 2003년 장유무계지구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됐지만, 터미널사업의 사양화와 민간 투자 유치 장기화로 인해 간이정류장 3개소 이용 등 장유 주민들의 고속·시외버스 이용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지난해 5월부터 민간사업자가 장유여객터미널(주) 법인을 설립하고, 사업비 1,570억원을 투입해 터미널시설과 상업시설을 복합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의 여객터미널 이용편의를 최대화하기 위해 터미널 최소 시설기준 면적이 1,253㎡지만, 6,597㎡를 증가하여 7,850㎡를 제공한다.
장유여객터미널 건립에 대한 장유시민들의 기대에 반해 일각에서는 터미널 인근 기반시설 부족과 교통혼잡, 부지매입가격에 대한 특혜의혹을 제기하며 원점에서의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터미널 인근 기반시설은 당초부터 일반상업지역으로 계획됐으며, 자동차정류장의 복합용도개발을 위한 입체적 도시계획시설 결정에 따라 장유여객터미널(주)는 주변 교통영향 최소화를 위해 부지 일부를 차로확장에 제공했고, 앞으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건축·교통 심의 절차가 있을 예정이라고 시는 밝혔다.
또한, 시는 터미널 부지가 도시개발사업 체비지로 매입금액(161억원)이 일반상업용지보다 낮은 가격이라고 특혜의혹을 제기하지만, 인접 무계 상업지역 실거래가(3,938천원/㎡)로 환산하면, 환산금액(260억원)과의 차액이 99억원(260억원-161억원)이고, 이 차액은 터미널 건축비(76억원)와 세금 등 제경비(23억원 이상)으로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시는 경기침체로 어려운 장유무계 상업지역을 삼계동 중심상업지역과 비교하며, 특혜의혹 제기, 원점에서의 재검토 등 장유여객터미널 건립 추진을 지체시키는 것은 장유시민들의 터미널 건립 기대와 장유 무계지역 경제가 회복될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 것이며, 하루빨리 시민들이 광역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여객터미널건립 추진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해시 대중교통과 박진용 과장은 "장유여객터미널이 운영개시를 앞당길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며, 건축·교통 심의를 통해 원할한 도로 교통체계를 구축해 장유여객터미널이 대중교통 기반시설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장유지역 경제 활성화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