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동참하는 한국 바이오 혁신성장…2025년 5000억달러 시대 앞당길까

2018-08-15 13:30
정부,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에 바이오헬스 추가…새 먹거리 산업 지원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2025년 4888억 달러 전망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관심은 바이오시밀러 가격 규제완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에서 둘째)이 지난 9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혁신성장관련 정부부처·기업·전문가 간담회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이오헬스 분야가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에 추가되면서 정부의 미래 먹거리 찾기에 삼성도 동참하게 됐다. 특히, 바이오제약 분야는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 규모가 5000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반도체를 대체할 국가 주력산업으로도 기대가 높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삼성은 정부에 바이오 규제 완화를 요청하기도 했다. 다만, 정부는 대기업 특혜 시비에 휘말리지 않도록 균형을 잡고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이 이어진다.

정부는 지난 13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주재한 가운데 제5차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에 바이오헬스 분야를 새롭게 선정했다.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고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 바이오헬스가 손색없다는 전문가들의 인식이 확산되는 추세를 반영한 결과다. 

글로벌컨설팅업체인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지난해 2410억 달러에서 올해 2640억 달러로 성장 중이다. 2025년에는 올해보다 2배에 가까운 4888억 달러로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정책 목표인 일자리 창출에도 바이오분야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산업별 취업유발효과는 △복지서비스업 32만7000명(의료·보건 18만8000명, 사회복지서비스업 13만9000명) △제조업 1만8000명 △복지서비스업 제외 서비스업 7만6000명 △기타 1만5000명 등으로 향후 바이오분야 일자리 창출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다.

한편 삼성의 경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의약품 위탁개발 및 생산 사업을 책임지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신약 개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삼성도 바이오의약분야를 ‘제2의 반도체’로 기대하며 경쟁력 확보에 팔을 걷는 분위기다. 특히 삼성은 주력인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가격 규제를 정부에 완화해 달라는 건의를 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정부 한 관계자는 “김동연 부총리와 이재용 부회장의 혁신성장 소통 간담회에서 바이오시밀러 규제에 대한 얘기가 나온 것으로 안다”며 “다만, 혁신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한 정도로 생각해달라”고 말을 아꼈다.

삼성 이외에도 LG, SK 역시 바이오의약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묘안 찾기에 한창인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혁신성장 전략 중 일부가 대기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공교롭게 정부와 삼성의 접촉 이후 삼성의 차기 주력 산업중 하나인 바이오분야가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에 포함된 점 역시 세간의 의혹을 키우는 대목이다.

더구나 정부가 바이오헬스 분야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지난해 8대 선도사업에 포함시키지 못한 점 역시 자성해야 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바이오헬스 분야가 혁신성장 사업에 포함되지 못한 것에 대해 의아하다는 민간 전문가들의 반응을 정부가 뒤늦게 반영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그뿐만 아니라 바이오 관련 업계에서는 신약 개발 단계상 품목허가까지 1년 이상 소요되는 만큼 이 같은 절차에 대해서도 안정성을 담보할 경우, 이를 간소화하는 등 다각적인 규제완화 요구를 정부가 귀담아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8대 선도사업에 포함된 바이오헬스 사업은 단지 의약분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의료기기 분야와 맞춤형 건강진단 및 관리 분야까지 포함하고 있다"며 "바이오헬스 분야를 통해 정부 목표인 일자리 창출에도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