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화경제 3대3로 전락으로 남북평화협력시대 중심으로 거듭나야"
2018-07-19 18:17
19일 경기도청 북부청사 평화누리홀서 ‘평화시대의 경기도 정책 토론회’ 개최
19일 오전 경기도청 북부청사 평화누리홀에서 열린 ‘평화시대의 경기도 정책 토론회’에선 각계각층의 평화분야 전문가와 정책 대표, 공직자, 도민 등 300여명이 참석해 열띤 논의의 장을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선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이 ‘한반도 평화번영시대의 전망’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이한주 새로운경기위원회 공동위원장이 ‘평화협력의 시대-경기도가 할 일’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종석 전 장관은 "남북-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연쇄 개최로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의 절호의 기회가 도래했다"며 "앞으로 ‘과정으로서 비핵화’가 이뤄질 경우, 단계적 대북재제 해제가 뒤따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 전 장관은 "이에 따라 경기도를 포함한 지자체들의 대북협력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경기도의 통일경제특구 추진에도 힘이 실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주 공동위원장은 발제에서 ‘남북평화협력시대의 중심, 경기도’라는 미래비전을 제시, 이를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 ‘경기도 평화경제 3대3로’를 제시했다.
이 전략은 현 정부의 ‘한반도 신 경제구상’에 맞춰 3대(경의축 지대, 경원축 지대, DMZ 동서축 지대)와 3로(경의선 로드, 경원선 로드, 환황해 해양로드)를 중심으로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중심지 △한반도 경제공동체의 신성장 거점 △통일 한반도 사통팔달의 교통 인프라 △살고 싶은 생태 복지의 경기북부 등을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3대를 통해 경의축을 한반도 통일 경제의 거점으로, 경원축을 한반도 관광·물류·농업 거점으로, DMZ 동서축을 한반도 평화생명벨트로 구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3로를 통해선 중국과 연결되는 경의선, 러시아로 이어지는 경원선을 중심으로 우리의 경제영토를 유라시아로 확장한다. 또한 경기 서해안을 중심으로 남·북·중을 연결하는 환황해 해양로드를 열어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 동북아 성장 시대를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방향도 함께 제안됐다.
이에 대해 남북교류협력 사업체계 정비·확대, 경의·경원축 통일경제특구 추진, 미군공여지 국가 주도개발, DMZ생태평화지대 구축, 환황해 경제벨트 개발 등을 향후 경기도가 추진해야 할 중점과제로 설정했다.
이후에는 발제자와 제안자, 참석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종합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정성호(더민주, 양주 국회의원) 새로운 경기위원회 부위원장은 "다가올 평화시대에 경기북부는 큰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며 "평화는 저절로 오지 않는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평화시대를 맞이할 수 있는 인프라와 제도, 환경 등을 구축하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화영 경기도 연정(평화) 부지사는 토론회 총평에서 "그간 남북교류 행정은 비밀주의가 강했던 것이 사실이다. 새 시대의 남북교류 행정은 오픈된 플랫폼을 통해 전문가, 민간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경기도가 앞장서 이를 위한 바탕을 마련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이날 토론회에선 △남북교류협력과 지자체의 역할 △경기도 통일특구 추진과제 △미군공여지 국가주도 개발과 경원선축 발전방향 △DMZ 평화지대화의 의의와 과제 △군부대 주변 지역 지원방안 △DMZ 접경지역의 평화미래 연대기 △환황해경제벨트개발 등 다양한 정책제안이 이뤄졌다.
김진흥 도 행정2부지사는 "남북관계 발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국가를 발전시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며 "이제 그 중심에서 경기도가 통일한국의 미래를 열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한주 새로운경기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이제는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추진해 왔던 남북교류를 지방정부 참여의 교류로 확대해야 할 때”라며 “북으로 이어지는 산업·교통 인프라가 집중된 경기북부를 한반도 공동 번영을 위한 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한반도 평화·번영 시대를 맞아 도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경기도가 주최하고 새로운경기위원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세종연구소, 대진대DMZ연구소,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가 공동 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