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4차 산업혁명 대응 콘텐츠 융·복합 혁신클러스터 조성 필요"

2018-07-15 12:24
"중복투자, 융·복합개발제한, 하드웨어 중심의 시설배치 등 개선해야"

 


향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도시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콘텐츠의 융·복합과 단계별 인큐베이팅 지원이 가능한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5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경기도 R&D 클러스터 조성을 제안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도심 내 융복합 R&D클러스터 조성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기도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특화된 R&D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개방형 R&D생태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지자체간 유망산업 유치를 위한 경쟁으로 콘텐츠·기술 등이 중복 투자되고 있으며, 기존의 용도지역 지구제에 얽매인 융·복합개발의 제한, 하드웨어 중심의 시설배치로 혁신공간 조성 실패, 융·복합 콘텐츠 및 전시·체험기능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기술 특성과 수도권 내 각 지자체별 보유 자원 등을 감안한 새로운 혁신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수립·운용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김태경 경기연 연구위원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체계화되고 효율적인 R&D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강구해 현재 수립 중인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반영하고, R&D 단지 조성·배치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경기도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대규모 자본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 민간자본을 활용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며 “경기도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콘텐츠 융⋅복합이 가능한 도심 내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