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도시재생 모델에 용산전자상가·영등포·경인로 일대 등 14곳 추가
2018-06-29 09:30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 방향 적극 반영
용산전자상가와 영등포·경인로 등 14곳이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새롭게 추가된다. 또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과 2030 서울생활권계획 등을 반영해 서울형 도시재생 계획을 재정비한다.
서울시는 지난 28일 도시재생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정가결했다고 29일 밝혔다.
2015년 수립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서울형 도시재생'의 방향과 구체적인 추진전략을 담은 도시재생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시는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정책 방향에 맞춰 서울형 도시재생 범위와 유형을 확대하고 정부와의 협력방안도 구체화했다
수정된 계획을 살펴보면 먼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기존 13개소에서 총 27개소로 확대했다. 용산전자상가 일대, 영등포·경인로 일대 등이 포함됐다. 이 지역들은 주택도시기금을 통한 수요자 중심형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융자지원이 가능해 진다.
기존 경제기반형(2~3개 동)과 근린재생형(1~2개 동)으로 나눴던 도시재생 유형에 '거점확산형'을 추가했다. 거점확상형은 주변의 활력을 확산할 수 있는 소규모 구역을 대상으로 한다. '돈의문 역사문화공원' 같이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하거나 구도심 내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방식이다.
이어 서울의 5대 권역별(도심권·동남권·동북권·서남권·서북권) 통합 도시재생구상을 새롭게 제시했다. 권역별 쇠퇴 정도를 고려하고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서울시 생활밀착형 도시계획인 '2030 서울생활권계획' 등을 모두 반영했다.
올해부터 정부가 도시재생 뉴딜 신규 사업지에 서울지역을 포함하기로 하면서 정부와의 분권, 협력을 기본방침에 명시하고 정부와의 협력방안도 구체화했다.
특히 정부의 도시재생에 대한 정책 방향과 정합성을 고려해 도시재생 프로세스를 기존 4단계(준비→계획→실행→자력재생단계)에서 3단계(거버넌스구상→계획 및 실행→자력재생단계)로 개편했다.
도시재생 실행 주체자는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아닌 주민·공공이 참여하는 민관상생협의회로 확장했다. 주체자는 공공 마중물사업 이후 마을협동조합, 지역재생기업(CRC) 등을 통해 주민 스스로 도시재생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사업 초기부터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성공한 서울의 도시재생 사례가 '대한민국 도시재생 표준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