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銀 MLF 4630억 위안 공급, 통화완화 신호일까
2018-06-07 10:53
지난 1일 MLF 담보물 범위도 확대, 통화완화로 기울었나
회사채 디폴트 의식? "근본 해결책 아냐, '온건·중립' 기조 유지"
회사채 디폴트 의식? "근본 해결책 아냐, '온건·중립' 기조 유지"
최근 중국 회사채 디폴트(채무불이행) 소식이 잇따르는 등 유동성 압박이 커진 상황에서 중국 인민은행이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한 자금 수혈에 나섰다. 하반기 지급준비율(지준율) 추가 인하 기대감도 커졌지만 당국의 통화정책 기조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인민은행은 6일 1년물 MLF로 4630억 위안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했다. 금리는 3.3%다. 이날 만기가 도래한 2595억 위안의 MLF에 대응하고 여기에 더해 2035억 위안을 추가로 주입한 것이다.
지난 1일에는 MLF 담보물 범위를 중소기업이 발행하는 신용등급 AA 이상 금융채와 회사채, 우수 중소기업 대출과 녹색기업 대출 등으로 확대했다. 지금까지 중앙은행 채권과 국채, AAA 등급 이상 회사채만 담보물로 인정했던 것과 비교하면 문턱을 크게 낮췄다. 중신증권은 해당 조치로 시중은행에 1조3800억 위안가량의 유동성이 공급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두고 통화완화 시작의 확실한 신호라며 하반기 지준율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오히려 MLF 만기 등 유동성 부족을 인민은행이 지준율 인하로 대응할 것이라는 예상이 틀렸음이 확인됐고, 당국의 통화정책 기조도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이 6일 보도했다.
신문은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MLF와 지준율 인하 중 MLF가 상대적으로 비용이 더 드는데 인민은행이 굳이 부담이 더 큰 수단을 선택했다는 사실이 기존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위안화가 절하되고 무분별한 투자 등으로 자본유출이 심화되는 등 시장 상황이 어려워지자 인민은행은 다소 완화로 기울었던 통화정책을 상대적 긴축 쪽으로 선회했다. 기준금리나 지준율 인하 등 대형카드보다는 MLF나 공개시장조작으로 필요한 만큼의 자금을 공급하며 신중을 기해왔다.
중국 당국이 완화로 기운 것 아니냐는 관측은 지난 4월에 고개를 들었다. 인민은행이 4월 25일 MLF 만기 물량 상환, 중소기업 자금지원 역량 강화 등을 이유로 시중은행 지준율 1%p 인하를 깜짝 선언한 것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에도 인민은행 관계자가 "중국의 온건·중립의 통화정책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실제로 당시 지준율 인하는 MLF 만기자금 상환과 세금 납부 등에 따른 시중 유동성 급감을 고려한 조치였을 뿐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시장 조작 수단이 다양해졌을 뿐이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회사채 디폴트가 잇따르자 이를 의식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온다. MLF 범위를 확대해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숨통을 틔워줬다는 것. 인민은행 측도 "이번 MLF 담보물 범위 확대는 채권 발행주체를 동등하게 대우하고 채권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돕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단순히 만기 자금 상환을 위한 대응일 뿐이라는 분석까지 나온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하반기 추가 지준율 인하도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천지(陳冀) 교통은행 금융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이번 유동성 공급은 이번주 MLF 만기 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며 "지나친 유동성 공급으로는 신용 리스크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단기적으로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리스크를 줄이려면 기업 자체의 펀더멘털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