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까지 번진 중국 '디폴트' 리스크, 中 채권시장 괜찮나

2018-05-30 15:53
중국 CERCG 자회사 채권 디폴트, ABCP로 리스크 확산돼 파장
최근 중국 기업 채권 '디폴트 쓰나미' 우려, 한 달간 10건
전문가 "시장 문제없어, 감독 강화에 따른 유동성 부족이 배경"
톈진 농상은행장, '부채' 압박에 자살도

[사진=아이클릭아트]



중국 기업 채권 디폴트(채무불이행)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파장이 국내 금융시장까지 미치며 중국 채권시장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는 모양새다.   

제일재경일보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국저에너지화공그룹(中國國儲能源化工集團· CERCG)의 자회사가 발행하고 CERCG가 보증한 3억5000만 달러 규모의 채권 원금이 상환되지 않았다. 만기일은 지난 11일이었다. 이에 따라 관련 자산유동화증권(ABCP)도 디폴트 리스크에 노출되면서 한국 증권업계까지 얼어 붙었다.  

연이은 디폴트 소식에 중국 채권시장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됐음은 물론 '국유기업'이라면 정부가 모든 것을 감당하던 중국은 이제 없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불안한 채권시장, '디폴트 쓰나미' 시작되나

중국신문사는 29일 금융정보업체 윈드의 통계를 인용, 올 들어 최근까지 총 21건의 디폴트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10건이 지난 4월 17일부터 5월 21일까지 한 달 사이에 집중되면서 시장에는 '디폴트 쓰나미' 우려가 확산됐다. 

5월 3~7일에만 *ST중안(中安·600654.SH), 성윈환경보호(盛運環保·300090.SZ), 선우환경보호(神霧環保·300156.SZ), 카이디생태계(凱迪生態·000939.SZ) 등 4곳이 채권 디폴트를 선언했다.

적자 지속으로 특별관리(ST) 종목으로 지정된 상장사 중 상당수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디폴트 리스크가 급증한 상태라는 경고도 나왔다. 올 1분기 630곳 상장사의 부채비율이 60% 이상으로 이 중 100% 이상을 기록한 곳도 18곳이다.

기업의 디폴트 리스크 증가는 대출 등을 제공하는 금융권, 지방정부 재정 건전성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된다. 실제로 최근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시린하오터(錫林浩特)시의 한 지방정부 자금조달기관(LGFV)이 40억 위안의 이자와 원금을 상환하지 못했다는 소식이 나와 시장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관리·감독 강화 여파··· 디폴트 계속된다

중국 내부에서는 채권시장 자체는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개별 기업의 운명은 과거보다 변동성이 높다는 점을 인식하고 투자자들이 시장 접근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채권 디폴트가 빠르게 늘어난 것은 중국 당국이 공급 측 개혁, 금융 레버리지 축소 등에 집중하며 유동성 고삐를 바짝 죈 영향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중국 은행권은 당국의 방침에 따라 대출 등 자금조달 문턱을 높이는 추세다. 통화정책 운용에도 신중을 기하는 상황으로, 시중 유동성 자체가 부족한 상태다. 이 시점에 자금조달 난도까지 높아져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하거나 무리한 사업확장으로 자금 상황이 좋지 않은 기업이 디폴트에 직면하게 됐다고 중국신문사는 설명했다. 

당국이 '좀비기업' 퇴출 등을 통한 경제구조 선진화와 질적 성장을 강조하고 있어 채권 디폴트를 계속 용인할 여지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기업의 부채를 암묵적으로 막아주던 정부가 이제는 '부실기업'은 도태시키는 것이 시장에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국저에너지도 "지난 2년간 대출 등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워져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고 설명했다. 이를 계기로 내부적인 자산구조 조정에 나설 뜻도 밝혔다. 기존 업무를 정상적으로 진행하되 일부 자산을 매각해 부족한 현금 유동성을 채운다는 계획이다.

장쉬(張旭) 중국 광대증권 연구원은 "최근의 디폴트는 지난 2016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있다"면서 "당시에는 중국 경기 악화, 채권 발행인의 책임의식 부족 등이 이유였지만 지금은 금융 당국과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에 따른 유동성 감소가 주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황자청(黃嘉誠) 푸다(富達)국제 펀드 매니저도 "최근 디폴트가 이어지는 것은 기업 등 주체가 공개시장에서 신규자금을 조달해 기존 부채를 막기 어려워졌음을 보여준다"며 "특히 소형은행은 아예 대출을 제공하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부채 압박 컸나, 톈진 농상은행장 자살
 

인진바오 톈진 농상은행장[사진=바이두]


지난 26일 인진바오(殷金寶·54) 중국 톈진(天津) 농상(農商)은행장은 자신의 사무실에서 목숨을 끊었다. 손목에 생긴 깊은 상처와 혈흔, 무엇이 인 은행장을 죽음으로 몰고 갔을까.

중국 현지 언론은 당국이 레버리지 축소를 강조하면서 이에 따라 커진 '부채 압박'과 톈진시 경제특구인 빈하이(滨海)신구 사업 실패를 이유로 꼽았다.

최근 톈진시의 상황은 어렵다. 빈하이신구에 기대감을 걸고 투자를 감행했지만 '중국의 맨해튼'이 아닌 유령도시로 전락하면서 빚더미에 앉았다. 2010년 17.4%에 달했던 성장률이 올 1분기 1.9%까지 떨어져 부채 부담은 더욱 무겁다. 

여기다 당국의 반부패 단속까지 추진되면서 인 행장이 극심한 심리적 부담을 느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톈진 농상은행장으로 승진한 그는 톈진시 14차 정협위원회 위원에 당선되는 등 출세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이달 초 중국의 반(反)부패 사정기관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가 톈진 농상은행을 감사 대상에 포함시켰고, 지난달 20일 톈진시 정부가 대대적인 감사에 나서며 인 은행장을 압박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