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정부상대 복지관련 권한쟁의심판 청구 취하
2018-05-09 11:47
해묵은 갈등 봉합, 정부와 상생적 해결방안 도출
성남시청사 전경.[아주경제DB]
경기 성남시가 정부상대 복지관련 권한쟁의심판 청구를 취하하기로 결정해 주목된다.
이는 시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앙정부와 더 이상 다툴 실익이 없는데다 해묵은 갈등을 봉합하고 정부와 상생적 해결방안을 도출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9일 시에 따르면 최근 정부를 피청구인으로 한 권한쟁의심판청구 3건을 취하하기로 결정, 이날 변호인단을 통해 취하할 예정이다.
시는 중앙정부가 이미 지방분권과 지방자치 확대 방향으로 선회하여 이를 더 이상 다툴 실익이 없다고 판단돼 대승적 차원에서 심판청구를 취하하고 향후 정부와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도출해나가기로 했다.
그동안 시와 정부는 3대 무상복지 정책(무상교복, 공공산후조리원, 청년배당) 시행을 두고 갈등을 빚어왔고, 그 과정에서 시는 지방자치권 침해를 이유로 정부상대 권한쟁의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청구했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서고 지난해 말 복지부가 ‘2018 사회보장제도 신설·변경 협의운용지침’을 개정함으로써, 지자체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지자체 복지사업의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발맞춰 올해 2월 열린 정부 사회보장위원회에서는 성남시의 무상교복 사업을 수용한다고 발표, 시는 기존 시행해왔던 중학교 무상교복에 더해 올해 입학한 고등학생 9500여명에게도 교복비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또 공공산후조리원 사업 또한 지난해 말 모자보건법 개정으로 올해 6월부터 지자체장이 자율적으로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운영할 수 있게 되면서 원만히 해결점을 찾았다.
시는 2016년부터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을 통해 산모와 가족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이와 같이 3대 무상복지 중 2개 사업은 이미 해결점을 찾았으며 시는 지난 2월 사회보장위원회에 포함되지 않아 남은 과제인 ‘청년배당’ 또한 정부와의 꾸준한 대화를 통해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