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새 57% 폭등" 한반도 봄바람에 중국 단둥 부동산 '들썩'

2018-05-02 11:13
북중 경제협력 상징도시 단둥…외지인 부동산 투기바람
떠오르는 단둥신구…新 압록강대교 개통 기대감
한반도 정세에 영향받는 단둥경제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부동산등기센터는 최근 업무를 보러 온 주민들이 급격히 늘면서 지난달 25일부터 예약번호 발급제를 실시하고 있다. [사진=증권시보 웨이보]


"최근 부동산 등기업무 급증으로 본 센터의 하루 최대 처리 업무량도 초과했습니다. 주민·기업들이 아침부터 줄 서서 대기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센터는 25일부터 예약번호 발급제를 실시합니다."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 부동산등기센터가 지난달 25일 내건 통지문 내용이다. 현재 이곳에서 매일 발급하는 번호표는 200여장. 부동산 등기처리를 하기 위해 주민들이 줄 지어 몰려오며 직원들은 매일 밤늦게까지 야근을 하는 처지다.

이는 최근 단둥 현지 부동산 시장 열기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한반도 정세에 훈풍이 불면서 북·중 경제협력의 상징으로 불렸던 단둥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고 중국 현지 경제일간지 증권시보(證券時保)가 2일 보도했다.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신의주와 마주보고 있는 단둥은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를 잇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거점 도시다. 단둥은 한때 육로를 통해 북·중 교역액의 70% 이상을 처리했다. 한반도 정세 안정, 북·중 관계 개선, 북한 경제건설 총력 등이 단둥 경제에 실질적인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틀 새 ㎡당 57% 뛰는 집값

2012~2017년 단둥 부동산 시장 흐름. [자료=증권시보]


톈진에 거주하는 황모씨는 지난달 21일 북한이 핵실험을 중단한다고 선언한 바로 다음 날인 22일 단둥을 찾았다. 

황씨는 "친구가 24일 단둥신구 아파트를 구매하기로 결정했을 때만 해도 집값이 ㎡당 3500위안이었는데 이틀 후 다시 갔을 때 가격이 5500위안으로 뛰었다"고 전했다. 이틀 새 집값이 ㎡당 57%가 오른 것이다.
 

단둥에 신축 아파트를 사러 온 외지인들이 줄을 잇고 있다. [사진=증권시보 웨이보]


특히 노동절 연휴를 전후로 외지에서 아파트를 보러 오는 외지인이 크게 늘었다. 대부분이 투자용 구매로, 한번에 서너채씩 구매하기도 한다고 장모씨는 전했다. 

일부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가격이 좀 더 오르면 팔려는 속셈으로 아파트 판매를 중단했다. 그동안 경기 악화로 중단됐던 아파트 공사도 속속 재개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각에서는 현지 집값이 나날이 뛰면서 단둥시 정부가 주택 구매제한령을 내놓아 부동산 시장 과열을 가라앉힐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단둥 현지 부동산업에 종사하는 장씨는 "한반도의 긴장된 정세 속에 외지인들이 그동안 단둥 주택 구매를 꺼렸으나 최근 들어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북·중 관계가 악화하던 2014, 2015년 2년 연속 단둥 신규주택 판매 면적과 판매액은 급격히 감소했다. 통계에 따르면 판매면적은 각각 47.7%, 25.7%, 판매액은 각각 43.3%, 23.6% 감소했다. 이에 단둥시 정부가 미분양 주택 해소 대책 마련에 나서기도 했다. 

◆떠오르는 단둥신구··· 신압록강대교 개통 기대감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둥을 잇는 신압록강 대교. 이미 완공을 마쳤지만 아직 개통은 되지 않았다. [사진=증권시보 웨이보]


외지인들이 몰리고 있는 곳은 단둥신구 지역이다. 이곳은 북한 황금평과 위화도와 맞붙어 있는 곳으로, 구시가지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어 대다수 주민들이 집 사기를 꺼렸던 곳이다. 이곳에 건설된 신(新)압록강대교도 모든 공사를 마쳤지만 북·중 관계 악화로 그동안 개통은 차일피일 미뤄졌다. 하지만 한반도 정세 완화 속에 신압록강 대교 건설 개통 기대감도 커졌다.  

현지 부동산 관계자들은 신압록강대교가 개통되고 유엔 대북제재가 풀리면 단둥 구시가지에 위치한 대다수 물류업체들도 단둥신구로 옮겨올 것이라고 전했다. 

량치둥(梁啓東)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부원장은 "최근 한반도 정세가 전환점을 맞으면서 개발상들이 이 틈을 타서 대대적으로 부동산 투기를 부추기고 있다"고 전했다. 량 원장은 "일각에서는 북한이 대외개방을 하면 가장 먼저 중국에 시장을 개방할 것인 만큼 이는 단둥에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동북지역의 '선전특구'가 될 것이란 기대감도 커졌다"고 전했다. 

◆북·중 경제협력의 상징도시

사실 그동안 단둥의 경제 발전은 한반도 정세가 좌지우지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뤼차오(呂超)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단둥 경제는 대북 교역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북·중 교역관계가 비교적 좋을 때 최대 수혜 접경도시는 단둥"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볼 때 단둥 경제는 북·중 관계 발전 상황에 따라 좋았다 나빴다 변동성이 컸다"고 전했다.

대표적인 게 '일교양도(一橋兩島, 일교는 신압록강대교를 지칭하고 양도는 북한 황금평과 위화도를 지칭)' 개발 사업이다. 당시 이 사업이 발표됐을 때만 해도 단둥 경제에 곧바로 영향을 미쳤다. 집값이 오르고, 특히 단둥신구 부동산 시장이 들썩였다. 하지만 황금평 개발사업 진척이 더뎌지고, 신압록강대교가 완공 후에도 개통되지 않으면서 단둥 경제는 다시 침체됐다. 

한반도에 훈풍이 불고 있지만 아직 근본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은 데다가 북한이 경제건설에 전력을 다한다 해도 대외개방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단기적으로는 단둥 경제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단둥의 한 현지인은 "북한은 여전히 국제사회 제재를 받고 있다"며 "북·중 양국 간 경제무역은 유엔 안보리 제재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만큼 단기적으로 한반도 정세가 단둥 경제성장에 미치는 역할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