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상업용 부동산 거래건수 최고...“주택 처분 후 유동자금 몰려”
2018-04-23 14:00
3만9082건 거래...이전 최다 기록은 ‘8·2 부동산 대책’ 발표 때

2017~2018년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 건수 추이. [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양도소득세 중과제도가 부활되고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는 등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유동 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으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달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 건수는 3만9082건으로 2006년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2만8950건) 대비 35%가량 증가한 것으로 이전 최다 기록은 지난해 8월 ‘8·2 부동산 대책’이 발표됐던 시점에 세운 3만8118건이다.
상업용 부동산의 거래 증가폭도 아파트의 두 배 이상을 웃돌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거래 건수는 38만4182건으로 2016년(25만7877건)과 비교했을 때 49%가량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아파트 거래량 증가폭인 14%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이런 상업용 부동산 거래 건수의 급증은 지난 달 말부터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등 강도 높은 대출 규제가 도입됨에 따라 투자자들이 이를 피하기 위해 매수 시점을 앞당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다주택자들이 주택을 처분한 이후 유동 자금이 수익형 부동산 시장으로 향한 데다가 대출 규제 전 서둘러 거래에 나서는 투자자들이 늘면서 거래량이 수직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