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경영 정상화' 대신 '법정관리' 준비 본격화

2018-04-15 17:15

[사진=연합뉴스]


한국GM이 경영 정상화 대신 법정관리를 위한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이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금 마련이 요원해지자 결국 재무·인사·법무 관련 조직을 통해 법정관리 신청 실무 작업을 검토 중이다. 본사에서 부도 위기를 예견한 오는 20일 이후 곧바로 법정관리 신청에 착수하기 위해서다.

GM은 지난 2월 13일 군산공장 폐쇄 결정 이후에도 한국 사업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며 △신차 배정 계획 △차입금 27억원 출자전환 △신차 연구개발 시설 투자 등 구체적인 회생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임단협을 통한 비용 감축이나 정부 지원 여부가 불투명해지자 노선을 법정관리 쪽으로 변경했다는 후문이다.

먼저 임단협의 경우, 노조가 한국GM의 일방적인 군산공장 폐쇄에 반발하며 급격히 갈등이 깊어지기 시작했다. 연달아 임단협이 결렬되자 GM에서는 최후 날짜까지 통보했다.

배리 엥글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지난달 26일 노조와 비공개 면답을 갖고 "3월 말까지 노사 임단협이 이뤄지지 않으면 4월 20일까지 자구안 마련이 어렵다"면서 "이렇게 되면 산업은행이나 정부 측 지원이 어려워지고 부도가 날 수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럼에도 이후 30일 열린 7차 임단협은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결렬됐다. 이후 한국GM 경영난으로 인해 6일 지급하기로 예정됐던 지난해 미지급 성과급을 지급하지 못한다고 발표하자, 노조가 한국GM 사장실을 점거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4월 초 예정됐던 8차 임단협마저 끝내 무산되고 말았다.

노사 관계와 별개로 정부 실사 역시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정부는 한국GM에 대한 실사가 완료된 후 그 결과를 보고 지원 여부와 규모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GM은 3월 내로 실사가 완료되길 희망했지만, 산업은행에서는 5월 초까지 실사 기간이 늦어질 수 있다는 현황을 전했다.

​여기에 산업통상자원부조차 한국GM 부평·창원 공장 '외국인투자 지역' 지정 신청을 두고 "신성장 기술이 부족하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도 한국GM 노선 변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 13일 댐 안만 GM 총괄 사장은 "다음주 금요일(20일)에 모두(한국GM 이해관계자)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20일이 한국GM 경영 데드라인임을 다시금 강조한 것이다.

엥글 사장의 방한 시기도 데드라인에 대한 경각심에 화력을 더했다.

엥글 사장은 지난해 말부터 2주당 한번 꼴로 한국을 찾아 정부와 산업은행 관계자 및 한국GM 노조 등을 만났지만 통상 2~3일을 머물다 귀국했다.

이번에 엥글 사장은 지난 10일 방한, 다음 주까지 출국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열흘에 달하는 방한 기간을 두고 일각에서는 그가 한국GM의 경영 방향을 마무리지을 것이라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20일 전까지 노사정 협의체 구성은 물론, 산업은행과 한국GM 경영단 및 노조가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만약 한국GM이 20일 이후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에는 파산 또는 대대적인 구조조정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본사가 한국 공장 주력 수출 모델인 트랙스 생산물량을 중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만큼, 생산 인력에 대한 추가 인력 구조조정이 필수적일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한국GM 자체 뿐 아니라 자동차 협력사와 업계 전반에 대한 우려도 심화되고 있다.

한국GM 부품협력업체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301개 한국GM 1차 협력업체 가운데 한국GM에 100% 납품하는 업체는 86개에 달한다. 50% 이상을 의존하는 기업도 절반에 달하는 150개 수준이다. 또한 협력 부품업체와 원·부자재 납품업체 등 직간접적 이해관계자를 포함하면 한국GM 사태로 영향을 받는 일자리 수는 약 30만명이다.

비대위는 "한국GM으로 인해 1·2·3차 협력사도 부도위기에 처했다"면서 "만약 한국GM이 파산한다면 협력사도 파산하게 되고, 그 파급효과는 결국 자동차 산업 전반으로 불거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