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아주경제] 4월 11일 수요일자... 모바일정책, 한·중 이렇군요
2018-04-11 09:03
[오늘의 아주경제] 4월 11일 수요일자... 모바일정책, 한·중 이렇군요
[오늘의 아주경제] 4월 11일 수요일자... 모바일정책, 한·중 이렇군요
오늘의 아주경제 1면과 3면에서는 모바일 헬스케어 정책에 대한 한국과 중국에 대해 비교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등 대표 정보통신기술(ICT)기업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으면 이러한 바탕에는 중국 정부의 각종 규제 완화와 지원책을 통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중국보다 먼저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정부 전략이 희지부지 되면서 국내 관련 기업의 사업환경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형국 입니다.
중국이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에 육성하고 조명받게된 이유는 최근 20년간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따른 의료수요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의료인력과 서비스의 공급은 부족한 문제가 심각하게 다뤄지면서부터 입니다. 특히 중국 내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서 ICT기업의 성장과 동시에 보험사 ·제약회사 등과 융합이 활발이 이뤄지면서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의료환경 규제가 얽혀 진입장벽이 높고 ICT를 활용한 사업모델 혁신과 발전에 큰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 헬스케어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 마련과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가 시급합니다.
앞서도 이야기 했지만 중국의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이 급성장하는 이유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이를 기회삼아 사업의 뛰어지는 ICT기업의 시너지가 끝 역할을 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향후 2030년까지 16조 위안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고, 중국의 대표적 ICT기업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등은 이에 걸맞는 적극적인 투자에 사업 확대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중국의 창업 활성화 정책 때문에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창업 붐이 일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각종 규제에 막혀 첨단 기술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의사단체에 반대에 부딪혀 규제 해소를 위한 각종 법안이 국회에서 계류된 상태 입니다. 이와 같은 악화된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 생태계 때문에 국내 스타트업 기업들은 창업 초기부터 규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국내보다 해외시장을 목표로 사업을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