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측량에 드론 뜬다"… 국토부, 드론을 이용한 공공측량 시행
2018-04-02 08:45
연 300억 시장 기대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공공측량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토교통부는 드론 공공측량의 제도화를 마무리하고 드론을 이용한 공공측량 제도를 본격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공공측량은 국민 안전과 공공시설 관리 등에 필요한 측량성과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엄격한 기준으로 관리하는 측량이다. 국가, 지자체 등이 발주하는 각종 도로와 철도, 공항, 수자원, 택지개발 등 공사의 기본이 된다.
드론을 이용하면 유인항공기보다 저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구름 등 기상의 영향을 적게 받고 신속한 촬영이 가능해 측량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기체 유지 관리 등에 드는 비용이 적어 유인항공기 대비 비용을 30%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연간 1650억원 규모에 달하는 국내 공공측량 시장 중 17% 수준인 283억원 규모의 항공·지상측량이 드론 측량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