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금리차 3년 3개월 만에 최대
2018-03-27 19:00
뛰는 대출금리, 기는 예금금리…2.33%p 차이
고정금리 비중 4년 만에 최대
금리 급상승 빚 부담 가중 우려
고정금리 비중 4년 만에 최대
금리 급상승 빚 부담 가중 우려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가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문제는 금융당국의 지침에도 불구하고 변동금리 비중이 고정금리에 비해 여전히 높다는 점이다.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 상품은 차주들의 빚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8년 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지난달 잔액 기준 총대출금리는 0.03%포인트 상승한 연 3.56%를 기록했다. 총수신금리는 전달에 비해 0.02%포인트 오른 연 1.23%로 집계됐다. 예금금리가 대출금리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다.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 금리차는 2.33%로 2014년 11월(2.36%)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처럼 대출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가계대출 중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24.3%다. 이는 지난 2014년 2월(23.8%) 이후 가장 낮다. 그만큼 변동금리형으로 대출을 받은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향후 금리가 추가적으로 인상될 경우 대출을 받은 차주들이 은행에 내야 할 이자 부담이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당국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정금리 상품 판매를 독려하고 있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해 10월 열린 '은행권 가계대출 동향 점검회의'에서 "은행 직원들이 상담과정에서 고객에게 보다 유리한 고정금리 대출상품을 권유할 수 있도록 일선 현장까지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당국은 이 일환으로 올해 업무계획에서 은행의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목표 비중을 2017년 말 45%에서 올해 47.5%로 높였다.
하지만 당국의 지침이 큰 효과가 없는 모습이다. 오히려 시장은 역행하고 있다. 신규 가계대출의 고정금리 비중은 4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고정금리 비중은 지난해 10월부터 20%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대출보다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 비중이 높고 금리도 더 낮은데 정부 규제로 인해 대출이 축소됐다"며 "대체적으로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 대출금리가 낮기 때문에 금융소비자들이 변동금리를 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의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은행들은 대출을 시행할 때 금리유형을 소비자들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향후 금리 인상이 빠를 것이라고 예상하면 고정금리형 대출 상품을, 완만할 것으로 보면 변동금리형 상품이 적합하다고 조언한다.
다만, 변동금리형 상품은 '달콤한 유혹'일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의견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금처럼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높고 점진적인 금리 상승기에 접어든 때는 이자를 줄이는 게 최고의 재테크"라며 "변동금리는 고정금리보다 당장 이자가 낮지만 향후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