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페셜-친일女 1호 배정자①]안중근 의거 때 통곡했다? 민족사를 역주행한 여자
2018-03-18 16:31
내년은 임시정부100년, 아주경제 大기획
[들어가며] 아주경제는 내년(2019년) 임시정부100년을 맞아, 오늘을 있게 한 독립투쟁의 활동을 복각하는 연중 대기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무장투쟁 독립운동가 남자현 열사와 최초의 여성의병장 윤희순 열사, 그리고 해주기생들을 비롯해 3.1운동에 뛰어든 용감한 여성들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이같은 여성순국열사의 길과는 대조적으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대를 살아간 한 여성에 대해 조망해보려 합니다. 비슷한 시대에 너무나 다른 선택을 한 삶을 살펴봄으로써, 나라를 구하기 위해 뛰어든 분들의 길이 얼마나 험렬하고 가치있는 실천이었는지를 돌이켜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온 겨레가 억압받는 식민지의 구조적 틀 속에서, 목숨을 걸고 분연히 일어서는 일은 지금 안전한 여기에서 우리가 상상하는 것 그 이상일 수 밖에 없습니다.
◆ 친일女 1호 배정자(1870-1952)
# 세번 웃고 세번 울었다(삼소삼곡 三笑三哭)
이 역사적인 반면교사 배정자를 만나러 가자.
배정자의 어린 시절 이름은 배분남(裵粉南, 개똥이)이었다. 1870년 경남 김해 소속의 밀양부 아전(지방공무원)이었던 배지홍(裵祉洪)의 딸이었다. 아버지 배지홍은 흥선대원군과 연관돼 지역의 실세로 군림하던 사람이었다.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하면서 시골의 이 집안도 파탄이 났다. 명성황후 민씨가 집권을 하면서 대원군의 실정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가 시작됐고 이듬해인 1874년 배지홍은 민씨 일가의 집권에 대해 반의(反意)를 표명했다는 이유로 대구 감영에서 처형을 당했다. 이 때 분남의 나이 4살 때였다.
분남은 계향(桂香)이란 기명을 받았다. 하지만 이 어린 기생은 밤잠을 설쳐가며 사내들의 욕망을 받아내야 하는 고통을 오래 참지 못했다. 기생 계향은 밤중에 밀양의 관청을 뛰어나와 무작정 산길을 걸었다. 허기와 피로에 지친 소녀는 어느 절간 앞에서 쓰러졌다. 그곳이 양산 통도사였다. 때는 1882년 12살 때였다. 통도사에서 분남은 불교에 입문하고 우담(藕潭)이라는 법명을 받는다.
이때의 우담스님 분남에 대한 증언은, 뜻밖에도 불교계의 거목인 구하(九河)스님의 입을 통해서 나온다. 구하는 한국전쟁 이후 15년간 통도사 주지로 활동했던 사람으로 한때 친일인사로 분류됐다. 조선 일제총독 데라우치에게 150환 짜리(쌀 10가마 값) 은제 술잔을 선물했다는 기록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후 통도사 측에서 구하스님이 독립운동가에게 자금 1만3000환을 몰래 지원한 증거자료(1927년에 쓴 영수증)를 찾아내 공개했다. 이후 이 큰 스님은 독립운동에 가담한 분으로 다시 분류된다.
명필로도 유명한 구하스님이, 그때 헤진 기생복을 입은 채 쓰러져 있던 분남이를 구할 때 함께 있었던 소년이었다. 구하는 10살이었고 분남은 12살이었다. 구하가 통도사로 들어온 것도, 가난에 못견딘 홀어머니가 두 살 때(1874년) 그를 이 절 앞에 내버려두고 갔기 때문이었다. 비슷한 신세로 같은 절의 식구가 된 분남에게 소년다운 연민과 동경이 가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 구하는 누나뻘인 분남과 계곡을 뛰어다니며 놀았다. 구하는 눈부시게 예뻤던 용모와 고집이 세고 체격은 야무지며 말투와 행동은 거칠었던 것을 기억해낸다. 이상국 아주T&P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