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2만개 구축해 일자리 7만5000개 만든다

2018-03-08 14:27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4차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구축해 7만5000개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정부의 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밑그림을 제시했다.

8일 4차산업혁명위는 서울 광화문 KT 12층 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개최해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안건에 대해 논의했다.

4차산업혁명위는 스마트공장을 확산시킬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했다. 4차산업혁명위는 정부의 스마트공장 확산 계획으로 일자리 7만5000개가 창출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스마트공장 확산 주체를 정부에서 민간으로 축을 옮기겠다는 것이 주된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정부가 구축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한다. 상생형 모델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구축 시 발생하는 비용을 정부와 대기업이 각각 30%씩 지원해 중소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비율은 40%에 그친다.

이를 통해 현재 30%에 불과한 민간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비중을 오는 2022년 50%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개별기업 지원 중심에서 산단·업종 등 기업군 지원으로 전환해 확산을 가속화한다. 특히 제조 중소기업이 몰려 있는 산업단지를 지역 확산거점으로 지정하고 지역별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한다. 지역 확산거점은 2022년까지 10개 지역을 선정한다.

스마트공장 도입 희망 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업종별·규모별로 시범공장을 2022년까지 50개 구축한다.

이 밖에도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 및 인공지능(AI)·가상현실(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한다.

스마트공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스마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의 확산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산업재해율을 낮춰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실제 지난 2014~2015년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을 살펴봤을 때, 산업재해율이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된다는 목표 하에 정책이 마련됐다”며 “앞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도 태스크포스(TF) 및 위원회를 통해 주기적으로 이행 점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