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에 파묻힌 중국 대륙… '쓰레기 없는 도시' 추진
2018-02-27 18:13
핵심은 재활용과 오염원 관리감독 강화
지난해 7월엔 WTO에 서한…해외 쓰레기 수입 중단 통보
지난해 7월엔 WTO에 서한…해외 쓰레기 수입 중단 통보
넘쳐나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는 중국이 '쓰레기 없는 도시' 건설에 나섰다.
중국 과기일보(科技日報)에 따르면 두샹완(杜祥琬) 중국 공정원 원사(院士·과학계 최고 권위자)는 최근 '쓰레기 없는 도시' 건설 방안을 제시했다. 폐수와 폐기물 등 오염원을 배출하는 공장을 최소화하고 생활단지마다 폐기물 재활용 센터를 구축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내용이 골자다.
두 원사는 “쓰레기 없는 도시 건설은 친환경 사회 도약을 위한 첫 걸음”이라며 “이는 도시 생활의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국민 건강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중 슝안의 움직임이 가장 분주했다. 허베이성 민주동맹(民盟) 위원회는 12기 1차 정치협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쓰레기 없는 슝안지구 건설 추진계획’을 제출했다. 위원회는 “미래 행정수도인 슝안을 친환경 도시로 건설해 거주민들의 안락한 보금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공업·생활·의료 폐기물과 폐수를 대량 생산하는 산업분야 34개를 선정해 이와 관련된 업체 1만여 곳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정기적으로 과학적인 데이터를 산출해 기준에 어긋나거나 불법 영업을 일삼는 업체를 퇴출시키겠다고 예고했다.
생활쓰레기가 감당할 수준을 넘어서자 중국 당국은 그동안 쓰레기 분리수거 캠페인과 재활용 관련 정책을 펼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저장(浙江)성 한 중학교에서는 분리수거 과목을 개설해 쓰레기 재활용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쓰레기 몸살을 해결할 방법 중 하나로 ‘택배박스 재활용 정책’이 항저우(杭州)에서 시행되고 있다. 재활용하는 박스는 택배업체에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해 수십 차례 넘게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원사는 “정부의 친환경 재활용 정책을 전폭 지지한다”며 “이는 생태계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 통계 자료에 따르면 중국 폐기물 재활용 시장의 규모는 7조 위안(약 1190조원)으로 약 4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이어 중국의 재활용 정책이 제대로 자리잡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법적 근거의 부재와 기술력 한계, 관리감독 미흡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또한 강도 높은 관리감독을 시행하기 위해선 법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며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정부의 지원이 미치는 곳과 안 미치는 곳의 편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해외에서 매년 평균 700만t씩 들여왔던 쓰레기 반입도 금지했다. 지난해 7월 세계무역기구(WTO)에 서한을 보내 종이와 플라스틱 등 24종류 쓰레기를 더 이상 수입하지 않겠다고 통보한 것. 중국 정부는 “해외에서 들어오는 재활용 쓰레기 가운데 상당량은 제대로 세척되지 않았거나 재활용할 수 없는 물질과 뒤섞인 채 들어왔다”며 "이로 인해 중국의 환경이 심하게 오염됐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