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190] 준가르 제국은 어떻게 사라지나? ②
2018-03-12 07:57
1,727년, 후계자 다툼 속에 독살된 체왕 랍탄의 자리를 이은 인물은 첫 번째 부인의 아들 갈단 체링이었다. 계모를 아버지를 죽은 범인으로 몰아 처형하고 기반을 굳힌 이 인물은 서쪽으로의 정복전쟁을 계속하면서 동쪽으로의 진출도 노렸다. 처음부터 청나라에 대한 적대감을 나타냈던 그는 옹정제 9년인 1,731년, 청의 지배 아래로 들어간 막북의 몽골 고원을 공격했다.
이후 6년에 걸친 강화교섭을 거쳐서 할하와 준가르를 가르는 국경선이 1,739년 확정됐다. 이때는 옹정제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인 건륭제가 즉위해 있던 때였다. 항가이 산맥의 동쪽은 할하가 차지하고 서쪽은 준가르가 차지한다는 암묵적인 휴전이 이루어 진 것이다. 이에 따라 양편사이의 평화가 1,745년까지 유지됐다.
▶ 중앙아시아 패권 장악
정복한 지역에서 인질을 데리고 철수한 뒤 공납을 제공받는 방법이었다. 러시아어에 인질을 의미하는 아마나트(аманат)라는 말이 있다. 아라비아 말에서 파생된 이 말은 러시아가 이슬람 문화권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온 인질 제도를 활용해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유목민을 통치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생겨난 말이다.
당시 준가르는 점령지였던 부하라 상인들을 이용해 러시아, 중국과 활발한 교역 활동을 가졌다. 그러한 교류 과정에서 준가르의 인질제도가 러시아에게 참고가 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여하튼 갈단 체링 시대에 준가르는 가장 안정된 번영을 구가했다.
1,745년 준가르의 지도자 갈단 체링이 죽었다. 능력 있는 군주가 죽은 뒤 후계자 정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면 나라가 순식간에 무너져 내리는 예가 많았다. 갈단 체링이 죽은 뒤의 준가르도 바로 그 경우에 해당한다. 혼란의 상황이 거듭되는 동안 준가르에 통합돼 있던 오이라트의 부족들도 제 각기 갈 길을 가겠다고 나서면서 분열의 현상까지 나타났다.
도르베트, 호쇼트, 호이트 등 각 부족이 독립의 길을 찾아 나서면서 준가르도 무너져 내리고 있었다. 각 부족의 많은 수령들 가운데 아예 청나라에 투항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1,753년 도르베트 부족 3천명이 청나라에 투항했다. 이듬해인 1,754년, 아무르사나라는 인물이 5천 명의 병사와 2만 명의 주민을 이끌고 청나라로 투항해 보호를 요청했다.
하지만 아무르사나가 일리지역에 머물면서 군주처럼 행세하자 둘 사이에 불화가 생겨 한판 대결이 벌어졌다. 그 결과 패배한 아무르사나가 청나라에 투항한 것이다.
▶ 준가르 제국의 멸망
아무르사나는 북로군부장군이라는 직책으로 원정군의 길잡이 역할을 했다. 청나라군대는 북로군과 남로군으로 나뉘어 접근했다. 북로군은 몽골 초원을 거쳐 일리로, 남로군은 우루무치와 준가르 분지를 지나 일리로 향했다. 청나라 군대가 진군해 가는 동안 저항은 거의 없는 대신 준가르로부터 투항자가 속출했다.
▶ 무위로 끝난 아무르사나의 반발
▶ 준가르의 멸망
준가르의 멸망! 그 것은 어떻게 보면 몽골 역사에 또 하나의 마침표가 찍어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칭기스칸 이전에 몽골 고원을 지배했던 종족들을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제한적으로 몽골의 역사는 몽골족이 흥안령 일대에서 몽골 고원으로 진입한 때부터 시작된다고도 볼 수 있다. 그 시대 오이라트는 적어도 몽골 역사의 주역은 아니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그리고 몽골인들에게는 청과 러시아에 의한 길고 긴 예속의 세월이 기다리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