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1인 가구 '27.4%..."맞춤형 주거복지 정책 필요"

2017-12-26 09:44

팔달문(오른쪽) 중심 수원시 전경


수원시에 가장 많은 가구 유형은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에 따르면 ‘수원형 주거기준’을 설정하고,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수립을 위해 4018가구를 대상으로 ‘2017년 주거실태 조사’를 시행한 결과 1인 가구 비율은 27.4%였다. 2인 가구는 21.6%, 3인 가구 22.2%,4인 가구 22.3%, 5인 이상 가구 6.5%였다.
 
통계청 승인을 받아 진행한 이번 조사는 전문조사원이 각 가구를 방문해 가구원을 일대일 면접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주거 환경, 주거비 부담 수준, 주거취약계층 특성, 주거복지 프로그램 수요 등을 파악했다.

전체 조사 가구 중 1080가구는 ‘주거취약계층’으로 노인 1인 가구, 장애인이 있는 가구, 공공임대주택 입주가구, 수급가구, 중위소득 50% 이하였다. 조사대상은 정부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할 때 표본으로 추출한 가구들을 선정했다.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自家) 가구가 51.4%로 가장 많았고, ‘월세·사글세·일세’가 27%, 전세가 19.5였다. 주거취약계층 가구 비율은 27.4%였고, 주거취약계층 주택 점유 형태는 월세가 48.7%로 가장 많았다.
 
주택 유형별 거주 비율은 아파트가 54.8%로 가장 많았고, 단독·다가구 주택 28%, 연립·다세대주택 13.1%였다. 영통구는 아파트 거주 가구 비율이 70.3%에 달했지만, 팔달구는 38.1%에 그쳤다.
 
전체 가구 중 3.9%가 지하층에 살았고, 특히 주거취약계층 가운데 지하층에 거주하는 비율은 7.9%였다.
 
자가 가구의 평균 주택 가격은 2억 9815만 원이었고, 전세 가구 평균 보증금은 1억 3518만 원이었다. 월세가구의 평균 월세 보증금과 월세는 각각 2457만 원, 33만 2000원이었다. 주거관련 평균 대출 금액은 자가 가구 9614만 원, 전세 가구 6848만 원, 월세 가구 4515만 원이었다.
 
공공임대주택 거주 가구 비율은 7%(주거취약계층 25.5%)였고, 임차 가구 중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사가 있는 가구는 54.7%(주거취약계층 55.2%)였다.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은 이번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수원형 주거기준’을 설정했다. 수원형 주거기준은 국토교통부 고시 최저주거기준 중 ‘시설기준’을 100% 달성하고, 지하층 거주가구를 2022년까지 3.95%에서 2.9%로 1%p 줄이는 것이다. 또 소득 대비 주택 임대료가 30% 이상인 가구에게는 임대료를 보조하는 것이다.
 
‘시설기준’은 전용 입식 부엌, 전용 수세식 화장실, 전용 온수샤워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시설기준 미달 가구는 전체 가구의 1.1%이다.
 
수원시 맞춤형 주거복지정책은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늘리고, 집수리 지원을 확대와 저소득 가구에게 임대료를 지원하는 것이다. 수원시는 지자체 매입임대주택을 확보하고, 빈집을 활용하는 등 공공임대주택을 늘릴 계획이다.
 
또 주거복지 관계기관과 협력해 집수리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주거 취약계층 가구 중 주거비 부담 때문에 식료품비를 줄이는 가구의 임대료 지원을 위해 주거복지기금을 확충하고, 임대료 부담 경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은 “이번 조사로 수원시민의 전반적인 주거실태를 파악하고, 저소득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정확한 주거복지 기초자료를 확보했다”면서 “수원시와 지속가능도시재단은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해 주거취약계층에 필요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